강성종 "등록금 전폐, 가장 확실하고 회수기간 짧은 투자"
[등록금 대토론회⑤] 독일의 기적은 '무상등록금' 때문
 
편집부 
아래는 지난 6월 7일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반값을 넘어 등록금 폐지, 가능한가?> 토론회에서 강성종 뉴욕 Biodyne연구소 소장의 발제문 전문입니다. 

강성종 소장은 한국인 최초로 세계적 과학잡지 <네이처>에 뇌(腦) 관련 논문을 게재(제1저자-1969,1970년)한 과학자입니다.  

강 소장은 독일 튀빙겐(Tübingen) 대학에서 화학, 물리학, 철학, 신학, 사회학 등을 공부하며 이학박사(화학) 학위를 받았고, 미국 뉴욕 시립대학인 마운트 사이나이(Mount Sinai) 의과대학 교수와 독일의 막스 프랑크 연구소 교수를 지냈습니다. 한국에선 서울대학교 AID 초빙교수, 과학기술부 Brain Pool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습니다. 은퇴 후엔 뉴욕에서 Biodyne Corporation Axon Laboratories라는 연구소를 설립해 현재까지 우울증,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강 소장은 2008년 『한국 과학기술 백년대계를 말한다』(라이프사이언스 펴냄)라는 책을 펴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현재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미래에 대한 설계도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10만 명이 넘는 트위터 팔로우어를 보유한 파워 트위터리안으로 '트위터 박사'로도 불리고 있습니다.<편집자 주>
 
▲ 강성종 뉴욕 Biodyne연구소 소장 ‥7일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주최로 열린 <반값을 넘어 등록금 폐지, 가능한가?> 토론회  ©대자보 박진철

1

세계의 산업사회를 분류하면 1. 노동집약산업사회, 2. 기술집약산업사회, 3. 자본집약산업 사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한국사회는 어느 산업사회에 속하는가?

우선 확실한 것은 한국은 자본집약산업사회가 아닙니다. 돈이 남아돌아가니 외국에 투자하라고 한 대통령도 있었습니다마는 우리는 천조의 빚이 있는 나라입니다. 지금 송도에서 인천공항까지 가는 다리도 돈이 없어서 남에게 꾸어서 그리고 직접 관리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국회사가 수익을 못 낼 때에는 우리의 세금으로 그 외국회사의 이익을 보장해 주는 것이 우리의 현주소입니다. 저는 왜 그런 계약을 맺어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기술집약산업사회인가? 제가 보기에는 기술집약산업사회가 아닙니다. '기술집약산업 진입국가'입니다.

2차 대전 후 독립한 지 66년이 지났습니다. 한국은 일본의 악날한 착취 속에서 전 분야가 미개 상태였습니다. 옛날을 돌이켜 봅시다. 대학을 세우니 교수가 없었습니다. 고등학교 선생님들이 전부 대학교수가 되었습니다. 연구라곤 한번도 해 본일이 없었습니다. 제가 덕국(독일을 지칭)에서 공부할 때 대부분 40대의 한국교수들이 유학을 왔었습니다. 그리고 고려대학교 교수였던 한승조 씨는 일본이 우리나라 철도를 놔 주었고 우리가 일본 때문에 미개국이 아니라는 정신 빠진 말을 하고 다니는데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더군요. 덕국이나 법국(프랑스) 같으면 아마 암살당하지 않았으면 종신징역이었을 것입니다.

지금은 외국에서 공부를 많이 하고 돌아와도 일할 자리가 없습니다. 포화가 아닙니다. 필요한데도 안 쓰고 있습니다. 작년에 동국대학에서 物理科를 폐쇄했다고 들었습니다. 학생들이 오지 않아서 할 수 없이 문을 닫아야 했다는 것입니다.

해방 후 66년이 지난 오늘 아직도 한국이 노동집약산업사회에 있다는 것은 학문을 숭상하고 유교의 전통을 가진 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왜 이럴까? 혹자는 바로 우리가 공자왈 맹자왈 하고 있다가 이 모양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틀린 말입니다. 중국은 중국의 四書五經 더 나아가서 十書十經이 있었기에 과학이 바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국가의 과학정책이 있었고 이를 강력하게 추진한 데 있습니다. 덕국도 Hölderin 같은 시인이 있었기 때문에 과학이 발달한 것입니다. 과학정책은 인문 사회과학 정책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에게는 학문에 대한 정책이 있었는가? 없었고 지금도 없습니다. 제가 제 책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그 나라의 미래를 알고 싶으면 그 나라의 과학기술정책, 더 나아가서 학문정책의 청사진을 보라.” 그래서 한국의 과학기술 청사진을 보려고 했더니 없어요.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없어요. 교육부에서 장황하게 나열한 것은 청사진이 아닙니다.

2

▲강성종 Biodyne연구소장  ©대자보 박진철
이젠 우리는 싫든 좋든 기술집약산업사회로 들어가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도 할 수 있다”라는 구호만으로 기술집약산업사회가 되는 것 아닙니다. 공부를 하고 연구를 해야 합니다. 국가는 젊은 한국인이 공부를 하고 연구를 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야 합니다.

덕국은 기술집약산업사회입니다. 거의 모든 국민이 科學家고 시인이고 디자이너고 음악가고 화가입니다. 2차 대전 후 미국과 소련은 덕국의 과학가를 자기네 나라로 전부 납치해 갔습니다. 이것이 미국이 과학대국이 되고 소련이 과학대국이 된 원인입니다. 과학은 과학가라는 사람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미국이 납치한 덕국 과학가는 25만 명, 소련이 납치해간 과학가도 25만 명이었습니다. 장거리 로케트 인공위성의 대부로 알려진 Werner von Braun을 납치하기 위해서 미국공군으로 있던 Caltech 전학삼(錢學森 Qián Xuésēn) 교수는 전쟁이 끝나기 6개월 전에 직접 덕국 바바리아(Bayern, Barbaria)에 침투 Werner von Braun을 생포했었습니다. Von Braun 로케트 과학가 한 명을 데려 온 것이 아닙니다. 6천명의 연구소 연구원을 몽땅 데려 왔을 뿐만 아니라 수 천만 장의 비밀 연구문서까지 다 미국으로 이송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애국자 전학삼 교수를 미국은 탈세로 감옥에 집어넣었습니다. 이것이 미국 몰락의 시작입니다.

지금 과학가를 한 명도 남기지 않고 싹쓸이한 덕국의 과학은 어떻습니까? 세계에서 첫째입니다. 영국의 잡지 타임스는 세계에서 첫째가는 연구소는 막스 프랑크 연구소라고 지정하지 않았습니까? 

최근 미국에도 막스 프랑크 연구소가 하나 생겼습니다. 플로리다에 있는데 이를 유치하기 위해서 대통령 형인 제프 부시가 직접 막스 프랑크를 방문하고 1억불을 내놓고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미국에 Imaging Technology가 약해서 스크립트연구소가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워 막스 프랑크 연구소를 유치해야 한다고 간청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덕국의 기적은 덕국이 600년 전 대학을 설립한 이래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한 푼의 등록금을 받지 않았고, 2차 대전 후 전 나라가 잿더미가 되고 먹을 것이 없어 꿀꿀이죽을 먹고 살면서도 등록금을 받지 않았고 더욱이 대학시설을 미국보다 더 우수하게 투자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꿀꿀이죽이라는 것은 전날 먹고 남은 찌꺼기를 다시 푹푹 끓여서 만든 죽, 덕국어로는 Eintopf라고 합니다. 저도 5년을 먹었습니다.

만일 덕국이 우리나라처럼 등록금을 받았더라면 2차 대전 후 미국 소련으로 납치당할 50만 명이라는 과학가도 없었을 뿐더러 과학기술가를 빼앗긴 텅 빈 나라에 먹을 것도 없었는데 아무도 대학에 가지를 못했으면 덕국은 3류 국가로 전락했을 것입니다. 이는 등록금을 한 푼도 안 받았던 덕국의 역사 때문입니다.

3

지금 한국은 대학등록금 문제로 찬반론이 뜨겁습니다. 제가 등록금 전폐를 들고 나온 2008년에는 아무도 콧방귀도 뀌지 않았습니다. 제가 2008년 제 책에서 썼지만 실은 평생 부르짖던 제 철학입니다. 기술집약산업사회로 가는 유일한 통로가 등록금 전폐입니다. 

제가 스승인 Ralph Dahrendorf의 「시민의 권리(Bildung als Bürgerrecht)로서의 교육」 강의를 듣고 책을 읽었을 때 귀가 번쩍했습니다. 이는 있지도 않은 등록금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왜 노동자 농민의 자식들이 대학 진학율이 낮은가?'에 대한 항의였습니다. 그래서 덕국에서 대학 혁명이 일어났습니다. 콘스탄스 대학이 새로 생기면서 대학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대학이 특권층 교육에서 일반 교육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였고 전 덕국 국민이 전부 전문지식인 되는 혁명이었습니다.

Ralph Dahrendorf가 주장하는 시민의 권리(Bildung als Bürgerrecht)로서의 교육은 바로 정동영이 말하는 양극화를 막는 등록금 폐지입니다. 

“개나 걸이나 다 대학 가려고 한다”라는 한국인의 말은 시대착오적 발상입니다. 우선 저는 등록금을 내고 학교를 다녀보지를 않아서 아직도 돈을 내고 대학을 다닌다는 것이 이상하게만 들립니다. 덕국이 이상한 나라입니까?

등록금 전폐는 투자입니다. 확실하고 회수기간이 가장 짧은 투자입니다. 주식이 더 빠르다고 생각하는 분도 있지만 이는 노름입니다. 즉 Casino economy(도박경제학)입니다.

한국인 각자의 지식은 한국의 재산입니다. 국가의 지식입니다. 등록금 전폐는 한국의 지적재산권을 극대화시킵니다. 교육을 시장경제에 맡기겠다고 하는 한나라당과 이명박은 지구의 어느 나라에서도 필요 없는 존재입니다. 한국에서 축출해도 받아들일 나라는 이 지구상에는 하나도 없습니다.

지금 등록금 때문에 학생들이 자살을 하고 심지어 일부 여학생은 유흥업소에서 알바를 한다고 합니다. 공부하는 시기에 유흥업소 알바라니요? 우리 돈 없으면 두 끼니만 먹읍시다. 그리고 우리 젊은이들의 대학교육을 뒤에서 밀어붙입시다. 그래서 덕국보다도 더 강력한 기술집약산업사회로 진입합시다. 악덕 사립대학 개인회사는 이번에 종지부를 찍읍시다.

어떤 사람은 돈이 있어 대학을 가는데, 누구는 실력이 있는데도 돈이 없어 대학을 못가고, 저임금 일용직을 전전해서야 되겠습니까? 이 명석한 한국국민의 두뇌를 잠재워서야 되겠습니까? 사회를 양극화하고 결국 몰락시킵니다. 그래서 정동영은 등록금 완전 폐지를 부르짖는 것입니다. 등록금을 전폐하고 기술집약산업사회를 건설합시다. 이 나라와 이 국민을 위해서.

지금 미국도 등록금 문제로 뜨겁습니다. 오늘 뉴욕타임스 여론란 Opinion Section에 저도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88. zon kang, closter, new jersey, june 3rd, 2011 9:56 pm

Now, and nation-wide we should start tuition-free higher education. It is the only way to attract more talented and more competitive young students to save the earth, nation, and crumbling economy. It is dangerous that the country is drifted to the financial capitalism, a system that money earns money, and that money generates money in the Goldman-achs computer room. We have to restore a system of a real capitalism where people earn money through hard working. Precariats with no social safe-net are the potential social time-bomb. (☞ 원문 출처)
 
▲ 강성종 뉴욕 Biodyne연구소 소장 ‥7일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주최로 열린 <반값을 넘어 등록금 폐지, 가능한가?> 토론회     ©대자보 박진철

☞[동영상] 강성종 박사 토론회 발언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

지역차이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듣기 싫어도 알아야】한국은 세계에서 빈부의 차가 가장 삼한나라중의 하나다. 이러한 빈부의 차이는 지역적으로 편중된 나라 중에서도 제일 극심하다. 처음에 나는 빈부의 차이는 많아 보았자 약 두 배정도 되겠지 했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빈부차이는 13:1 라고 한. 즉 경상도가 전라도보다 13배를 더 잘 산다는 말이다. 나는 전라도가 아니니까 배 아플 것도 없다. 나라가 걱정돼서 하는 말이다.

부의 양극화는 교육의 양극화로 이어진다. 돈 없이는 대학에 갈수가 없다. 그러니 가난한집 사람들은 무식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지식은 소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연히 연속으로 대대로 가난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농어촌에서 의사가 나온다든가 서울대학에 합격하면 개천에서 용이 나왔다고 한다. 그렇게 드문 현상이다.

이러한 빈부의 차이는 대도시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서울의 경우 부자들이 사는 동내와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동내를 보라. 한쪽은 거의 경상도 사람들이다. 다른 한쪽 즉 [달 동내] 라는 곳은 전부 전라도사람들이 산다. 교육의 질 또한 이에 비례된다.

경상도사람들은 교육을 잘 받았기 때문에 요직에 다 배치되어있다. 일급 언론도 이런 지역적 편중이 심하다. 이는 통계다. 여론도 이들이 만든다.

트위터도 경상도출신이 70-80 한다고 알려졌고 전라도는 20-30% 라 고한다. 그래서 내가 트위터에서 암만 떠들어봐도 안 먹힌다는 것이다.

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전라도 사람들은 김대중이 대통령 되고 비로서 아스팔트 도로를 처음 구경했다고 한다. 호남고속도로를 말하는것같다.

교육도 없고 앞은 막막하고. 보이는 것은 번쩍번쩍하는 호화판이다. 그래서 여기에 눈이 뒤집힌 교육도 없고 갈길도 없는 청소년들이 깡패가 된다. 그래서 전라도에서는 양아치 깡패가 많이 나온다고 한다. 의왕시 서울교도소를 가보면 안다. 좀 도둑에 사람 투들 겨 팬 청소년의 엄마가 사식이라는 밥을 들고 울고 있다. 어떤 아이들은 나이가 너무 어려서 소년형무소로 간다고 한다.

내가 지역감정을 일으킨다고 생각하지 마라. 사실을 알고 개선하고 싶은 마음에서 이 글을 쓸 뿐이다.

물론 전라도 출신에도 판검사가 있고 변호사 의사 약사들도 있다. 내가 얘기하는 것은 백분율(%)이다.

경상도 사람들은 이권이 있기 때문에 잘 뭉치는데 전라도 사람들은 서로 자기들 끼리 욕하고 험 뜯는다고 한다. 그것은 미국의 돈 없고 교육 못 받은 흑인사회를 분석하면 답이 나온다. 그래서 잘사는 흑인들이 흑인을 더 싫어한다. 교육 못 받고 없는 사람은 우선 인간구실을 하기 힘들다. 사람의 질이 나빠서 그런 것 아니다. 그런 상황에 있으면 인간은 다 그렇다. 그래서 송나라의 재상 王安石은 窮則小人 泰則(poverty induces moral degradation and wealth helps to maintain their good name) 즉 가난하면 비굴해지고 부유하면 군자가 된다는 말이다.  천년전에 왕안석은 송나라사람이 비굴해서는 안된다고 왕에게 올린 탄원서다. 흑인지도자가 나오면 우선 백인이 뭉쳐 그 흑인지도자를 죽인다. 흑인들이 그리로 집결될까 하는 우려에서다. 아니면 흑인 욕하는 흑인을 영웅으로 대접하고 교수도 시키고 대법관도 시킨다. 폭동도 흑인 촌에서 일어난다.

흑인과 백인 사이에는 이질성이 있다고 하지만 한국은 문화 언어 풍습 모두가 같다. 이질성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다. 그래서 한국의 이 심각한 이질성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이질성이다. 그래서 우리는 고쳐야 한다. 그것은 강자가 앞장을 서서 고쳐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폭동밖에 없다. 폭동을 없애는 방법은 폭동주동자들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많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김지하의 말대로 자생적이라는 것이다. 자꾸 나온다. 팔레스타인들이 계속 이스라엘에 대해서 항거하고 지도자가 계속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10만명의 동학운동이 일어났지만 일본군이 진압했다. 광주에서 또 피를 흘렸다.

어떻게 해결할까? 방법이 있다. 여기에 제시한다. 미국에는 Affirmative Action Programs 이라는 것을 적용 빈부의 차이를 적게 시켰다. 사전에는 승학고시우대(陞學考試優待)라고 번역한다. 찬조성행동계획(贊助性行動計劃)이라고도 한다.

어떻게 했느냐 하면

 (1) 국민학교에서부터 고교까지 미국 전역학교를 섞어버렸다. 즉 가난한 동내와 부유한 동내 학교를 섞었다. 버스로 날랐다. 가난한 동내 아이들이 부자학교구경을 처음 한것이다. 반발도 많았지만 교육의 평준화에 기여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크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달 동내 학생과 강남학생을 섞어버린 것과 같다. 부모의 반발을 생각해보라. 이게 공산국가지 민주국가냐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민주주의의 나라 미국전역에 일어났다. 잘 되였다. 반대하면 공권력으로 처단했다.

(2) 대학입학은 쿠오타 Quota 제를 실시했다. 돈 없는 흑인 집 아이들의 20%는 무조건 입학을 시켰다. 특히 의과대학 법과대학을 많이 가게 했다. 국가(연방법무성)의 명령이다.

(3) 학자금을 무상 지급했다.

(4) 취직할 때 이력서에 사진을 못 부치게 했다. 미국사회를 색맹 [Color Blind] 으로 만들었다.

(5) 그래서 똑똑한 백인들이 하위 20%는 회생 되였다. 전체 국가를 위해서는 20%는 회생시켜도 좋다는 것이다. 그래도 너이들은 백인이라는 것이다.

(6) 그 외에도 약자에 대한 혜택은 많았다.

우리도 이와 같이 하면 된다. 가난한자들에 대한 배려와 지역배려를 강행해야 한다.

내가 속했던 City University of New York 도 원래 무상교육이었으니까 학생도 무조건 다 받아드리라는 정책이었다. 엄청난 시련이 있었다. 그 중 City College 전세계에서 노벨수상자 를 제일 많이 배출한 대학이지만 화학과에 학생이 4천명이나 되였다. 너무 어려워 다 떨어져 나가서 정상화가 되였지만 학교 질이 나빠진 것은 없다. 일종의 혁명인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선생들이 좀 곤혹을 치렀을 뿐이다. 얼마 기간 동안.

한국문제 이렇게 풀어야 한다. 다른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제시해보라. 환영한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한다. 강성종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

The KAIST Lecture 2012.05.14:16:00

 

Spirit and Responsibility of Higher Education

 

Kang Sungzong 姜成宗

Axon Neuroscience Laboratories for Alzheimer’s Dementia and Bipolar Depression

9 Willow Avenue at Rockleigh Road

Rockleigh, New Jersey 07647-2707

http://viaxon.com & http://biodyne.com

viaxon@gmail.com & viagen@gmail.com

 

 

Education is the art of making men ethical

[Die Pädagogik ist die Kunst, die Menschen sittlich zu machen]

G.W.F. Hegel, Rechtsphilosophie, § 151

  

1

  

1 [Universitas Litterarum]

 

The Korean higher education is in crossroad. It is fortunate in a sense that the period of blind obsession with growth reached a certain maturity, and that it is time we have to look back at our past and to quest for an opportunity for a new social order in the further advancement of not only of material wellbeing but also of the spiritual enrichment of the nation. Korea is at this juncture here and now, and the university and higher education in general sit right in the center of this complex problem and must seek for the answer as to what kind of role it ought to play in shaping the nation. It is the central question I would like to address in this prestigious institution. The academic position is not called job.[1] It is called vocation. Vocation comes from the Latin vocare meaning to call by God to do something for salvation of mankind. It is considered man’s noble activity. The academic position you have now is associated with those spirit and responsibility. Students are also a part of this community as Universitas Litterarum is contained in a programme of the universitas magistrorum and studentorum. Some 200 years ago in the West Johann Gottlieb Fichte delivered series of lectures in 1794 on the subject of the vocation of the Scholar, the vocation of man in a society, and the absolute vocation of man at Jena, Berlin, Erlangen and Königsberg, and the Nature of the Scholar delivered in 1805 at Erlangen. At the time of Fichte entire European higher education was in crisis similar we are experiencing in these days here in Korea and globalized educational landscapes of the world: marginalization of the core function of the universities. His main points in his deliveries to the Scholars and university professors are [2]:

1.      Knowledge is itself a branch of human culture; that branch must itself be further advanced if all the faculties of man are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hence it is the duty of the Scholar, as of every man who has chosen a particular condition of life, to strive for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chiefly of his own peculiar department of knowledge; it is his duty as it is the duty of every man in his own department; yes, it is much more than his duty.

2.      The mere knowledge, however, of the faculties and wants of man, without an acquaintance with the means of developing and satisfying them, would be not only a most sorrowful and discouraging, but also a vain and perfectly useless, acquirement. This would not be such knowledge as society requires, and for which a particular class of men is needed, to whom the possession of it may be committed; for this knowledge does not aim at the perfection of the species [Pure Reason and philosophical], and through that perfection at its harmonious combination, as it ought to do: hence to this knowledge of wants there must be added a knowledge of the means by which they may be satisfied; and this knowledge properly devolves upon the same class, because the one cannot be complete, and still less can it be active and living, without the other [philosophical-historical].

3.      If, however, this knowledge is to become useful to the society, it is not sufficient to ascertain what faculties belong essentially to man, and through what means they may be developed; such knowledge would still remain quite unproductive. It must proceed a step farther, in order to secure the wished-for benefits; we must also know on what particular grade of cultivation the society to which we belong stands at a particular point of time; to what particular stage it has next to ascend, and what are the means at its command for that purpose.

4.      There are many tendencies and powers in man, and it is the vocation of each individual to cultivate all his powers, so far as he is able to do so. Among others is the social impulse; which offers him a new and peculiar form of cultivation, - that for society – and afford an unusual facility for culture in general. There is nothing prescribed to man on this subject; whether he shall cultivate all his faculties as a whole, unaided and by nature alone, or mediated through society.

5.      On the ground of Reason alone [reiner Vernunft of Kant] we can calculate the direction which human progress must take; we can declare approximately the particular steps by which it must pass to the attainment of a definite stage of cultivation; but to declare the particular step on which it actually stands at a given point of time is impossible for Reason alone; for this, Experience must be questioned, the event of the past must be examined, but with an eye of philosophy [historical].

6.      The three branches of knowledge [Pure Reason-Philosophical, Philosophical-Historical, and Historical], when combined together, constitute what is called learning, and he who devotes his life to the acquisition of this knowledge is a Scholar. He further develops his academic and moral principle as follows:

7.      The scholar is the Guide of the human race.

8.      The ultimate purpose of each individual man, as well as of all society, and consequently of all the labors of the Scholar in society, is the moral elevation of all men. It is the duty of the Scholar to have this final object constantly in view, and never to lose sight of it in all that he does in society. But no one can successfully labor for the moral improvement of his species who is not himself a good man. We don’t teach by words alone, and we also teach much more impressively by example; everyone who lives in society owes it a good example, because the power of example has its origin in the social relation.

9.      How much more is this due from the Scholar, who ought to be before all of others in every branch of human culture?

Fichte compares the Scholar to the biblical statement: Ye are the salt of the earth: if the salt have lost its savor, wherewith shall it be salted? If chosen among men be depraved, where shall we seek for moral good?

10.  Thus, the scholar ought to be the best man of his age. He ought to exhibit in himself the highest grade of moral culture then possible.

 

In this period of time, Friedrich the Great, with help of Wilhelm von Humboldt, Minister of Education was eager to have an ideal educational system representing Universtas Litterarum [a world of letters] for entire world. When he announced a new University in Berlin, which could be a model of all European universities, the Fichte’s proposal, Deduced Plan for a higher Educational Establishment to be set up in Berlin, was adopted. The University started at the Palace of the King donated by the Friedrich the Great. The Palace was located at the street Unter den Linden, so is the University called University Unter den Linden.[3] Wilhelm von Humboldt, then Minister of Education and a polymath Scholar as well, attended Fichte’s class of Philosophy as a Minister and as a student as well. Fichte beca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University. The University produced 29 Nobel Laureates in science alone besides Karl Marx, Otto von Bismarck, Friedrich Engels, Ferdinand de Saussure of Structuralism, Walter Benjamin and other prominent. The list of those who have been shaping European intellectual faces is endless. The University Unter den Linden, now known as the Humboldt University has been a model of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nd many other American universities across the Atlantic.   

 

[2] Jixia Academy 稷下學宮

 

Much earlier than the spirit of Friedrich the Great, Wilhelm von Humboldt, and Fichte, who fully and successfully embodied Higher Education in Western Civilization, more flourishing and flowering Scholastic Center was created by the King Xuan of Qi. It started by Duke Huan 2300 years earlier in Eastern Civilization.

The patronage of scholarship began with Tian Wu 田午, known as Duke Huan 田桓公 (375-358 BC), who established a bureau at the Jixia, inaugurated the practice of bestowing the title of Grand Officer and extended his welcome to wise men whom he honored and esteemed."[4] The Academy itself seems to have been founded by his son, King Wei of Qi 齊威王 (357-320 BC), who brought together from all over China the outstanding minds of the day. Under the influence of his prime minister, Zou Ji 鄒忌, King Wei patronized some 72 scholars in the Academy, who took delight in deliberating the affairs of government," but who treated Zou Ji disrespectfully whenever they had occasion to associate with him.[11]

鄒忌(約前385-319, 戰國時齊國大臣。以鼓琴游說齊威王,被任相國,封於下邳(今江蘇邳縣西南),稱成侯。勸說威王勵群臣吏民進諫,主張革新政治,修訂法律,選拔人才,勵賢臣,處罰奸吏,並選薦得力大臣堅守四境。從此齊國漸

King Xuan 齊宣王 (319-301 BC) founded a Scholars Hall 稷下學宮 outside the Ji Gate. During this periodthe Academy reached its zenith. The king was fond of scholars who were accomplished in learning and who were gifted virtuosos at rhetoric. Seventy-six such men were associated with the Academy, were given ranks and honors, and made senior grand officers, not t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but to deliberate and propound learned theories. For this reason, the scholars beneath the Ji Gate 稷下 enjoyed a renaissance coming, to number in the hundreds and thousands”. Mencius says of King Xuan that the “heart behind his actions was sufficient to enable him to become a true king" and that despite his inordinate fondness for acts of valor, money, sex, and musical performances, he might have become great but for his refusal to act in the proper fashion.

The Jixia scholars seem to have been free to debate with one another without any of the responsibilities of high office, though they were accorded its honors and emoluments. Freed from having to put their theories into action, the Jixia scholars seem to have delighted in displays of skill in argumentation. A few, such as Shunyu Kun 淳于髡순우곤, abjured holding of office as a matter of principle, but most seem to have hungered for the power to act that office alone provided. We know very little more about the Jixia Academy and how its scholars debated one another.

It was formally founded around 318 BC in the city of Linzi 臨淄, capital of the state of Qi (modern Shandong province), and Jixia was a gate in the city wall. At the time, Linzi 臨淄 was one of the largest, most prosperous cities in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on record a state began to act as a patron of scholarship out of the apparent conviction that this was a proper function of the state or a means of increasing its prestige" [1]. Scholars came from great distances to lodge in the academy, with the most important scholar holding the rank of Great Prefect. Notable scholars who worked at the academy included the Daoist 道家 philosophers Tian Pian 田騈, Shen Dao 愼到, and Peng Meng 彭蒙; Zou Yan , Zou Shi 鄒奭, founders of the Yin-Yang school 陰陽家學派創始者 of philosophy; the Mohist 墨家 philosopher Song Xing ; and the Confucian 儒家 philosophers Mencius 孟子, Xun Zi 荀子, and Chunyu Kun 淳于髡.

The Shiji 史記 says that "the king of Qi 齊宣王 favoured these scholars. From Chunyu Kun down he gave them all the rank of ministers and honoured them by building large mansions, broad avenues and imposing gates for them. This was to show the proteges of other rulers that the king of Qi was a good patron."

"The most prominent scholars were called 'Master' (先生 xiān-sheng) and their rank was equivalent to that of a higher-ranking official ( 大夫 Shàng dà-fū) at the Qi court. They received very generous stipends and were exempt from daily administrative tasks." During its heyday, the Jixia Academy was the center of learning in China.

Among other works inspired by or begun at the Jixia Academy, the "Guanzi 管子 essay 'Neiye' 內業 (Inward training) is the oldest received writing on the subject of the cultivation of vapor and meditation techniques. The essay was probably composed at the Jixia Academy in Qi in the late fourth century BC."

The Jixia Academy throve until the reign of King Min of Qi. In 284 BC, Linzi 臨淄 was taken by the army of Yan 燕國 Yān'guó and the scholars of the Academy were scattered.

However, Jixia has continuously formed a backbone of Chinese as well as Oriental scholarship and philosophies until now and into the future of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史記, the Jixia Academy inspired jealousy among leaders of other states, including Lü Buwei 呂不韋(291–235 BC), chief minister of Qin, who became the patron of thousands of scholars in Qin between 250 and 238 B.C. He served as Chancellor of China 宰相 zǎixiàng or 丞相 chéngxiàng for King Zhuangxiang of Qin 秦莊襄王, and as regent and Chancellor for the king's young son Ying Zheng (嬴政), who became Qin Shi Huang 秦始皇, the first Emperor of China. Lü Buwei notably sponsored an encyclopedic compendium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philosophies, the 239 BCE Lüshi Chunqiu 呂氏春秋

There is widespread agreement that the Yanzi Chunqiu [晏子春秋]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of Minister Yan Ying) was an anthology of the writings of Jixia scholars. It is quite probable that it was composed by followers of Chunyu Kun.

One of the remarkable yet tragic phenomena of Chinese history is emergence of Li Si 李斯 (280–208 BC) was the influential Prime Minister (or Chancellor) of the feudal state and later of the Dynasty of Qin, between 246 BC and 208 BC. He was a student of Xunzi 荀子 at Jixia Academy. Xunzi od course refused to serve Qin Dynasty.[5]

 

[3] Higher Education in the Age of Internet

 

The spirit of Universitas Litterarum of Berlin University spread on entire European continent and America, and shaped over two centuries the spirit of a higher education including Oxford and Cambridge and American higher educational system.

Should this spirit of Universitas Litterarum still be maintained and promoted in the age of Internet? Here is an answer:

Ingeborg Gabriel of University of Vienna delivered a lecture in Rome under the title: Human dignity in a knowledge based society¾the role of the university. It summarizes:

1.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foundations of present European culture were laid at the transition from a feudal to an urban culture. The first universities were founded at that time and the university as an ideal as well as a reality was and is part of this culture.

The word, universitas, contains the programme of the institution: the search for and the teaching of knowledge in its universality, the universitas litterarum.

2.      The second part of the programme of the university is that as the universitas magistrorum and studentorum it forms a community not only in the legal or administrative sense (which is also the case) but in the strictly scientific sense. Knowledge is to be acquired through personal discourse in a scientific community. (The questions of Thomas of Aquinas show this in a paradigmatic, formalized way).

3.      The two core elements of the globally unique European concept of the university are thus¾the quest for the unity of knowledge, which theologically is grounded in the unity of the creation¾and its dialogical and communal acquisition As Plato put it beautifully in his seventh letter: By holding discourse many times and by being together in confidence and search for the truth suddenly a light springs up like from a flying spark (Platon 7. Brief 341c).

4.      Sociologically we find ourselves in a period of transition from an industrial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sh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but also differ in significant aspects. Modern man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defines himself as “worker and owner” as a homo faber, whose work transforms the world according to his needs and creates his property, which in turn protects his liberty. For Enlightenment philosophy (as well as for Marx) work therefore constitutes the central pursuit of man. [Homo faber suae quisque fortunae; Man shapes his own fate; man is the blacksmith of his fate] Appius Claudius Caecus

5.      In this context the first and foremost aim of science was and is its usability for production through technical inventions and their potential usage in the economy. This utilitarian approach led to a grave crisis in the university system at the end of the 18th and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Between 1790 and 1820 many universities in the German speaking countries were closed and replaced by technical schools, which were to give technical training directly applicable for the working process. The natural sciences insofar as they serve as the basis for technical science and economic progress acquired a position of dominance.

6.      This situation is not far from todays. The complaints about the marginalization of the humanities are nearly identical in Newman’s Idea of the University and in current writings on university issues, as those of Ralf Dahrendorf and Hans Grimm, the president of the German Fakultatentag (Professor’s Association). Behind this lie however deeper anthropological questions, which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problem.

7.      Natural sciences produce knowledg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wealth of nations”: In societies where wealth has become the main and only aim, which can command public consensus, this priority of the applied sciences reflects the basic interests of the society and consequently politics and its view of the common good as consisting in economic growth.

8.      But there also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strong counter-movement against the functionalization of knowledge:

9.      Adam Smith, the founder of modern economics, who was a moral philosopher by profession saw - with admirable farsightedness, that the monotony the division of labor in industrial society demanded has de-humanizing effects on the labourer who “becomes as stupid and ignorant as it is possible for a human creature to become, his sentiments become stunted, and he becomes altogether incapable of judging.” (A. Smith, Wealth of nations, Book V/1). Adam Smith therefore pled for widespread universal education as a public good.

10.  The idea of the universitas litterarum was revived in Germany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by Wilhelm von Humboldt, who defended the ideal of universal knowledge on humanistic grounds and on the basis of Romantic ideas.

11.  Firstly on financial premises: globalization processes undermine national economies and lead to an increase of competition in the economic sphere. Public goods and services including the universities loose public support and financing and get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proof their usefulness in a situation of increasing worldwide economic competition.

12.  The radical changes in society and in work, e.g.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ways of fulltime und lifelong employment are becoming the exception rather than the rule, confront the individual with a high degree of uncertainty, and the ever increasing need for professional and personal flexibility. Flexibility originally means the ability of a tree to bend and consequently get back into an upright position. Applied to human beings flexibility therefore means that they despite all adaptations they need to make in work and personal life have a firm core or personality centre which enables them to remain themselves and that is also creative human beings.

13.  Whereas in industrial society the monotony of work had potentially dehumanizing effects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it is the information flood (the word is evocative) which endangers human integrity. E. g. the use of the internet creates a magnificent sense of universality. I can get the information from it for which I formerly had to visit libraries around the world and I can find out about any subject I happen to be interested in. This offers an easy access to universal knowledge former generations could not even dream of.

14.  This is also a metaphor for the problem the person is confronted with today: the fragmentation of its knowledge, values and ultimately personality.

15.  University education is more than functional education for work or a mere presentation of disperate facts. It is the place where students as the future leaders of the community are taught to make sense of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subjects, to question given answers and to acquire a basic knowledge of the anthropological, cultural and ultimately religious issues which are important for human life. It is also a place where students should learn to communicate their ideas to others, to discuss in structured and fruitful way, to develop a culture of discourse which lies at the basis of political life. This will also enable them to contribute to their own science, the common good in democratic societies and in a rapidly changing globalizing world which requires the respect of others and other cultures and therefore needs a good understanding of one’s own.

http://www.universitas2000.org/eventi/simposio/2004_2005/IngeborgGabriel.pdf

 The word university is derived from the Latin 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 roughly meaning "community of teachers and scholars" or a world of teachers and students

 

[4]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outlook of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s pessimistic and dehumanizing not only individuals, but the entire society as well. Imagine students watching Richard Feynman’s physics lecture in front of a jumbotron screen or electronic dispay board. You don’t need a single physics professor in entire world. Laboratory experiments are more impressing whether they are medical or veterinary anatomy or hadron experiments in CERN. Virtual laboratories let you walk in the laboratories, sit in front of experiments, and touch the machine. They are not DVD that the professors use as an aid for teaching; they are controlled by the Wall Street on a VOD (Video on demand and simulcast on any language) and well protected as intellectual properties.

Fantastic! We don’t need universities or teachers. Tuition is much cheaper, and you don’t have to commute. You don’t have to be away from your home Mommy cooks hot homemade foods to go to a university town. We need a few technicians who babysit us. Is it a second coming of the Brave New World or the end of education?

University is a community, and man’s activity is a part of communal activity. Globalization destroys the very sense of community concept. It dehumanizes and demoralizes. In globalization man is isolated, neglected, and abandoned. It is a world of David Riesman’s Lonely Crowd.[6] Real community is a small community. A community of Ernst Fritz Schumacher’s Small Is Beautiful. Even the economy should not be of the monopolized financial capitalism, but a Buddhist economy as coined and described in the Chapter Four of Schumacher’s Book.[7]

Can and should a professor, a moral man according to Fichte, be reduced to globalized automata? Our government like many others pursues this uncharted deadly course. Who could rescue the nation from this danger? We have to rediscover our own Renaissance, not the Renaissance as an escape from the Dark Middle Age, but by healing the West and Western civilization as prescribed in Ezra Pound’s Cantos and reviving our Classics.

 

2

 

[1]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identity of nation state.

 Indiscriminately driving of English language exerts tremendous pressure on everyone who lives in Korea without examining the benefits and harms it creates. It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not learn foreign languages. In academia, professors are forced to give lectures in English. This educational policy creates mental stress among students as well to the teachers. It creates a deep moral dilemma as well.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legitimacy of English in a non-English country is not well founded either. Even at elementary school English language becomes a measure of children’s superiority in ability and economic viability. Such a dangerous language policy makes the entire nation suffer from social schizophasia 分裂性語言 and/or paraphasia 言語錯亂, and finally cripples to a society of full of lingo orphans. Arts, literature, roman, music, science, and social fabric composed of variety of these ingredients have no proper acceptance in their own cultural niche. The frame coordinates of all cultures, tradition, law, logic, and customs is the language. In these respects, I will examine the language itself, and its proper place in epistemology and history.

Function of Language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language has two purposes, namely thought process and communicative vehicle: We formulate our thought through language and we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language. These two seemingly different functions of language are so closely interwoven that one without the other cannot stand alone. Language as a communicative process exists not only in human being but in animal kingdom also as it is derived from the Latin word lingua for tongue. Inseparability of thought and communication further demonstrates that thought process exists in all the social animals no matter how primitive they would be. Much earlier in the Hellenistic civilization Logos (logoV) which comes originally from legō (lέgw) meaning talk, tell and speak was immediately extended to for describing thought, reason account, consideration, esteem, relation, proportion, analogy and similar mental exercise. Greek philosophy flourished due precisely to the application of logoV and lέgw along with πάθος (pathos) and ηθος (ethos) which are again manifested in lέgw (legō).

 

In order to expand the horizon of knowledge we use, in addition, symbols and develop a new branch of science of semiotics. Leibniz, the founder of calculus (differential/integral equation) and mathematical symbols, has been the first western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occupied with language and symbol. He is deeply involved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and imagoarithmetica or semioarithmetica 象數學. or imagoarithmetics. As a sinophile, Leibniz was aware of the I Ching 易經 and noted with fascination how its hexagrams 六十四卦 correspond to the binary numbers from 0 to 111111 and concluded that this mapping was evidence of major Chinese accomplishments in the sort of philosophical mathematics he admired. 64 Hexagram is an 8x8 matrix of trigram 八卦 from where Korean national flag is derived.

L'invention de cette langue depend de la vraye Philosophie; car il est impossible autrement de denombrer toutes les pensées des hommes, et de les mettre par ordre, ny seulement de les distinguer en sorte qu'elles soient claires et simples; qui est à mon advis le plus grand secret qu'on puisse avoir pour acquerir la bonne science; [et si quelqu'un avoit bien expliqué quelles sont les idées simples qui sont en l'imagination des hommes, desquelles se compose tout ce qu'ils pensent, et que cela fust receu par tout le monde, i'oserois esperer ensuite une langue universelle fort aisée à aprendre, à prononcer, et à écrire et ce qui est le principal, qui ayderoit au iugement, luy representant si distinctement toutes choses, qu'il luy seroit presque impossible de se tromper; au lieu que tout au rebours, les mots que nous avons n'ont quasi que des significations confuses, ausquelles l'Esprit des hommes s'estant acoutumé de longue main, cela est cause qu'il n'entend presque rien parfaitement.] Or ie tiens que cette langue est possible, et qu'on peut trouver la Science de qui elle dépend, par le moyen de laquelle les Paysans pouroient mieux iuger de la verité des choses, que ne font maintenant les Philosophes.[8]

The discovery of such a language depends upon the true philosophy. For without that philosophy it is impossible to number and order all the thoughts of men or even to separate them into clear and simple thoughts, which in my opinion is the great secret for acquiring true scientific knowledge.[….] I think it is possible to invent such a language and to discover the science on which it depends: it would make [even] peasants better judges of the truth about the world than philosophers are now. But do not hope ever to see such language in use. [For that, the order of nature would have to change so that the world turned into a terrestrial paradise; and that is too much to suggest outside of fairyland.] Translation by Jacques Derrida.[9]

Leibniz expressly refers to this letter and to the analytical principle it formulates. The entire project implies the decomposition into simple ideas. It is the only way to substitute calculation for reasoning. In that sense, the universal characteristic depends on philosophy for its principle but it may be undertaken without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philosophy.

The characteristic 幂数(미수) economizes on the spirit and imagination, whose expense must always be husbanded. It is the principal goal of this great science that I am used to calling Characteristic, of which what we call Algebra, or Analysis, is only a small branch; for it is this science that gives speech to languages, letters to speech, numbers to arithmetic, notes to music; it teaches us the secret stabilizing reasoning, and of obliging it to leave visible marks on the paper in a little volume, to be examined at leisure; finally, it makes us reason at little cost, putting characters in the place of things in order to ease the imagination.

In spite of all the differences that separate the projects of universal language or writing at this time (notably with respect to history and language), the concept of simple absolute is always necessarily and indispensably involved. It would be easy to show that it always leads to infinitist theology 無限主義神學 and to the logos or infinite understanding of God. That is why, appearances to the contrary, and in spite of all the seduction that it can legitimately exercise on our epoch, the Leibnizian project of a universal characteristic 万有特性 that is not essentially phonetic does not interrupt logocentrism in any way. On the contrary, universal logic confirms logocentrism, is produced within it and with its help, exactly like the Hegelian critique to which it will be subjected. I emphasize the complicity of these two contradictory movements. Within a certain historical epoch, there is a profound unity among the inifinitist theology, logocentrism, and a certain technicism 技術至上主義. The originary and pre- or meta-phonetic writing that I am attempting to conceive of here leads to nothing less than an overtaking of speech by the machine.

In an original and non ‘relativist’ sense, logocentrism 語言中心主義 is an ethnocentric metaphysics 民族中心主義的 思辨哲學. It i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West. The Chinese model only apparently interrupt it when Leibniz refers to it to teach Characteristic. Not only does this model remain a domestic representation, but also, it is prai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ignating a lack and to define the necessary corrections. What Leibniz is eager to borrow from the Chinese writing is its arbitrariness and therefore its independence with regard to history. The arbitrariness has an essential link with non-phonetic essence which Leibniz believes he can attribute to Chinese writing. The latter seems to have been “invented by a deaf man”.[9]

Cependant quoyque cette langue depende de la vraye philosophie, elle ne depend pas de sa perfection. C'est à dire cette langue peut estre établie, quoyque la philosophie ne soit pas parfaite: et à mesure que la science des hommes croistra, cette langue croistra aussi. En attendant elle sera d'un Jecours merveilleux et pour se servir de ce que nous sçavons, et pour voir ce qui nous manque, et pour inventer les moyens d'y arriver, mais sur tout pour exterminer les controversies dans les matieres qui dependent du raisonnement. Car alors raisonner et calculer sera la même chose.[8] (Although this language depends on the true philosophy, it does not depend on its perfection. This language can be established even if philosophy is not perfect. As men’s knowledge grows, this language will grow as well. Meanwhile it will be of great help for using what we know for finding out what we lack, for inventing way of redeeming the lack, but especially for settling controversies in matters that depend on reasoning. For then reasoning and calculating will be the same thing.)

In a letter to Joachim Bouvet [1703], Leibniz described that:[10]

Chinese characters are perhaps more philosophical and seem to be built upon more intellectual considerations, such as are given by numbers, orders, and relations, thus there are only detached strokes that do not culminate in some resemblances to a sort of body.

However, Leibniz did not examine th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In essence Korean language is composed logographeme and ethnocentric phoneme. Phoneme of Hanja 漢字 is always monosyllabic unlike Chinese and its construction sits in a stable box. Not because that I am a Korean, but from philosoph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 analysis Korean language is by far the most superior and advanced language. If Leibniz knew the Korean language, he would unhesitatingly say that the Korean language is the most philosophical one.

 

 

Western terminology for 象數學 (xiangshu xue) is not well established.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such as imagoarithmetica, imagoarithmetics, semioarithmetica, imagonumerics, imagomathematics, or semionumerics of Shao Yong 邵雍. Throughout this thesis, I use imagoarithmetica or semioarithmetica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Leibnizian interpretation of I Ching and Fuxi 伏羲. Anne D. Birdwhistell [9] and Don J. Wyatt [10] used image-number study for 象數學.

 

64 Hexagram 六十四卦


坤(地)


艮(山)


坎(水)


巽(風)


震(雷)


離(火)


兌(


乾(天)

上卦
下卦



11.地天泰



26.山天大畜



5.水天需



9.風天小畜



34.雷天大



14.火天大有



43.天夬



1.


乾(天)



19.



41.



60.



61.中孚



54.歸妹



38.



58.為泽



10.


兌(



36.地火明夷



22.山火賁



63.水火



37.風火家人



55.雷火豊



30.



49.火革



13.天火同人


離(火)



24.地雷復



27.山雷



3.水雷屯



42.風雷益



51.



21.火雷噬嗑



17.



25.天雷无妄


震(雷)



46.地風升



18.山風蠱



48.水風井



57.



32.雷風恒



50.火風鼎



28.風大過



44.天風姤


巽(風)



7.地水師



4.山水蒙



29.



59.風水渙



40.雷水解



64.火水未濟



47.水困



6.天水訟


坎(水)



15.地山謙



52.



39.水山蹇



53.風山漸



62.雷山小過



56.火山旅



31.山咸



33.天山遯


艮(山)



2.



23.山地



8.水地比



20.風地觀



16.雷地豫



35.火地晋



45.地萃



12.天地否


坤(地)

Figure 1. 64 Hexagram.[11-21]

 

Monolemma Culture and Civilization: Monolemma’s Dilemma

[1] Soliloquy of Hamlet

The logical dilemma in Western thoughts in literature is a soliloquy, the tragic lament of Hamlet of Shakespeare.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Hamlet’s soliloquy begins with what must be the most famous line in the English canon: “To be or not to be.” For the character at that moment, it is an important question, literally one of “life and death”, but the general terms in which it is phrased gives it a resonance that reaches out past Hamlet. Hamlet poses the question on the most metaphysical level – not “shall I kill myself?”, nor “can I live like this?” but “to be or not to be”. It is existence itself that is up for debate in this speech.

The form of words guarantees that Hamlet’s question will be interpreted on a general level: the line uses one of the most basic verbs in the language, one without which English itself would surely be impossible to speak. The verb is then phrased in the infinitive, “to be”, rather than attaching it to any specific noun or pronoun (not even Hamlet’s own “I”). Balancing it on the other side of “or” is the simplest possible opposition, the same verb with a one syllable prefix: “not”.

[2] Søren Kierkegaard’s Either/Or

Søren Kierkegaard explored the aesthetic and ethical "phases" or "stages" of existence in his influential book, Either/Or. Either/Or portrays two life views, one consciously hedonistic, the other based on ethical duty and responsibility.

A common interpretation of Either/Or presents the reader with a choice between two approaches to life. There are no standards or guidelines which indicate how to choose. The reasons for choosing an ethical way of life over the aesthetic only make sense if one is already committed to an ethical way of life. Suggesting the aesthetic approach as evil implies one has already accepted the idea that there is a good/evil distinction to be made. Likewise, choosing an aesthetic way of life only appeals to the aesthete, ruling Judge Vilhelm's ethics as inconsequential and preferring the pleasures of seduction. Thus, existentialists see Victor Eremita as presenting a radical choice in which no pre-ordained value can be discerned. One must choose, and through one's choices, one creates what one is. Such dichotomic choice, either/or, stems from Western linguistic atrocity.

[3] Aristotelian logic

Western civilization of both Greco-Roman and Judeo-Christian traditions is based on Aristotelian logic such as the law of excluded middle on the one hand, and biblical dogmatic choice between evil and good, eternal life and death, and heaven and inferno on the other. One is destined to choose only between these two. It is a coercion, and one is never be free.

The three classic laws of thought of the West are attributed to Aristotle and were foundational in scholastic logic. However, Hegel expanded in his The Science of Logic as:

law of identity 同一律 (Aristotle)

Law of identity is inaccurate because a thing is always more than itself (Hegel)

law of noncontradiction 無矛盾律 (Aristotle)

Law of non-contradiction is inaccurate because everything in existence is both itself and not itself (Hegel)

law of excluded middle 中排論 (Aristotle)

Law of excluded middle is inaccurate because a thing can be both itself and many others (Hegel)

Hegel wanted to liberate from Aristotle, but he cannot be free as long as the logic proposition is based on the same linguistic niche.

However, Søren Kierkegaard rejected Hegel, despite of its incompleteness, because man has no choice in his ethical determination. Hegel’s criticism of excluded middle is not law of included middle 中含論(法包括中間).

Recently, Graham Priest pointed out that under some conditions, some statements can be both true and false simultaneously, or may be true and false at different times. Applied universally, without specified conditions or axiomatic restrictions, this dialetheism will cause every statement, to explode, to become true. Dialetheism 雙面眞理說 arises from formal logical paradoxes, such as the Liar's paradox and Russell's paradox.

Dialetheism is the view that some statements can be both true and false simultaneously. More precisely, it is the belief that there can be a true statement whose negation is also true. Such statements are called "true contradictions" or dialetheia.

Dialetheism 雙面眞理說 is not a system of formal logic; instead, it is a hypothesis that can be introduced as an axiom within pre-existing systems of formal logic. Introducing dialetheism has various consequences, depending on the theory into which it is introduced. For example, in traditional systems of logic (e.g., classical logic and intuitionistic logic), every statement becomes true if a contradiction is true; this means that such systems become trivial when dialetheism is included as an axiom. Other logical systems do not explode in this manner when contradictions are introduced; such contradiction-tolerant 矛盾許容 systems are known as paraconsistent [inconsistency-tolerant 不一致許容] logics.

Traditionally, in Aristotle's classical logical calculus, in evaluating any proposition there are only two possible truth values, "true" and "false." An obvious extension to classical two-valued logic is a many-valued logic for more than two possible values. In logic, a many- or multi-valued logic is a propositional calculus in which there are more than two values. Those most popular in the literature are three-valued (e.g., Łukasiewicz's and Kleene's), which accept the values "true", "false", and "unknown", finite-valued with more than three values, and the infinite-valued (e.g. fuzzy logic and probability logic) logics.

 

The ‘becoming’ ontology 變化過程的形成 本体論

The ‘becoming’ ontology according to the Western tradition, Heraclitus wrote a treatise about nature named "Perì phýseōs", "About Nature," in which appears the famous aphorism "panta rei [os potamòs]" translated literally as "the whole flows [as a river]," or figuratively as "everything flows, nothing stands still." The concept of "becoming" in philosophy is strictly connected with two others: movement and evolution, as ‘becoming’ assumes a ‘changing to’ and a ‘moving toward.’ The philosophy of ‘becoming’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rom eschatological process on the one hand and irreversible thermodynamics of Lars Onsager and Ilya Prigogine on the other. The former is the Christian theology of ‘becoming’ from Son of Man to Son of God, and the latter the science of the process of ‘becoming’ for the formation of life from primordial soup to Teilhard de Chardin’s Omega (W) point. Heraclitian ‘becoming’ philosophy is very probably of oriental philosophical origin. In addition, Teilhard de Chardin spent most of his life in China. He is better known under his name 德日進 Dérìjìn in China. The concept of his noosphere 精神界 derived from the Greek nous (mind) + sphaira (sphere) as the final stage after atmosphere (atmos=vapor + sphaera=氣界) and biosphere (bio=life + sphaera=生命系). His cosmogenesis are clearly influenced by Laozi’s 老子 Dao De Jing 道德經 and by Guifeng Zongmi (圭峰 宗密 780-841) Zongmi 宗密 is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philosopher of Dang Dynasty 唐朝, whose sphere of influence stretched to Korea and Japan. Zongmi’s thought is transmitted to Korea and Japan and further developed by Jinul (普照國師 知訥; 1158–1210). According to Zongmi,

遠則混沌 一氣剖陰陽之二、二生天地人三、三生萬物。萬物與人 皆氣

In the beginning there was a Chaos, the one pneuma of the primordial Chaos divided into the dyad of Yin and Yang, the two engendered the triad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and the three engendered the myriad things. The myriad things and human beings all have the pneuma as their origin.[21]

It is reminiscent of Dao De Jing 道德經 in that Dao () has no reference 基準 and that Zongmi’s primordial Chaos corresponds to Wuji 無極 which originally meant "ultimateless; boundless; infinite" in Daoist classics, yet came to mean the "primordial universe" prior to the Taiji 太極 "Supreme Ultimate" in Song Dynasty (960-1279) Neo-Confucianist cosmology 性理學宇宙論.

In an array of logical propositions, we face a dilemma. What is a dilemma? It is a combination of two words, di (two) and lemma (proposition 引理). In mathematics, a lemma (plural lemmata or lemmas from the Greek λήμμα, "lemma" meaning "anything which is received, such as a gift, profit, or a bribe") is a proven proposition which is used as a stepping stone to a larger result rather than as a statement in-and-of itself. A good stepping stone leads to many others, so some of the most powerful results in mathematics are known as lemmata, such as Gauss's lemma and Poincaré's lemma, There is no formal distinction between a lemma and a theorem, only one of usage and convention.

Dilemma First attested 1523, from Late Latin dilemma, from Ancient Greek δίλημμα (dilēmma, “double proposition”), from δι- + λημμα (tow lēmma, “premise, proposition”).

How about multilemma? Trilemma is conceived as a circumstance in which a choice must be made between three options that seem equally undesirable. In logic, a syllogism containing three alternatives that each infer the same conclusion.

When we examine the logic, whether it is Aristotelian or Hegelian, it seems that one treats logic as a particle, let’s say, logicon (理子 邏輯子). In fact, Bertrand Russell and Ludwig Wittgenstein adhered to logical atomism (邏輯原子主義) similar to my jargon. Later they abandoned it. Monolemma does not rescue Western civilization and dilemma brings chaos.

Meanwhile, in the advent of the twentieth Century, Science is confronted with linguistic problem of Western language in describing wave particle duality for a single phenomenon of a single noumenon. They coined it wavicle in order to get out of this mess. De Broglie relation succinctly describes it, but the Western language is not rescued from dichotomic nature of Western language as exemplified in previous section. Many attempts to substitute it by mathematical symbols. However, wavicle is not an entity; it is a continuum. Western language itself is not free from this logical proposition.

Subsequent confusions arise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classical Hamiltonian and wave functions. The logic imbedded in the Western language does not allow transition from deterministic to probabilistic description albeit symbols like and Y.

Could this confusion and insolvency be rescued by the oriental languages that are deeply absorbed in the Chinese characters where Korean language is an integral part of this ethno-linguistic tradition? Not straightforward. Let us examine the fundamental aspect of Chinese Characters.

 

Ideologographeme 形意語素字位

Primitive structural basis of Chinese Character is ideogram or ideograph 形意文字 (from Greek ideo=idea + grafo=write). Ideogram is a graphic symbol that represents an idea or concept. Some ideograms are comprehensible only by familiarity with prior convention; others convey their meaning through pictorial resemblance to a physical object, and thus may also be referred to as pictograms 象形圖.

Logogram, or logograph 語素文字, is a grapheme 字位 which represents a word or a morpheme 語素 (the smallest meaningful unit of language). This stands in contrast to phonograms 表音文字, which represent phonemes 音位 (speech sounds) or combinations of phonemes, and determinatives, which mark semantic categories.

Chinese characters started with "ideograms", but now after long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evolution, the Chinese characters have solely of logographic nature. The character set is broken into pictograms (象形字), semantic-phonetic compounds (形聲字), simple ideographs (指事字), logical aggregates (會意字), associate transformations (轉注字), and phonetic loan characters (假借字) Others terms include Sinogram 漢字 emphasizing the Chinese origin of the characters, and Han character,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native term. The native terms (Chinese hanzi (漢字), Japanese kanji, Korean hanja) are also fairly widespread in the contexts of the individual languages.

When Max Planck delivered a lecture in 1923 at the University of Beijing, Hu Gang Fu 胡剛復 hú gāng fù of Harvard physicist, then the interpreter, introduced a new Chinese Character for Entropy, pronouncing shāng. The corresponding enthalpy was (han heat content). These two words are certainly of logographic origin. When you consult the MS Office Korean-Chinese conversion table, you realize it is pronounced as (di ), not shāng , such as (di water drop), (di enemy), (shì fit) etc. Apparently, they were confused with . So many such errors are noticed in Korean Internet milieu.

此外 曾在1923年 陪同 德國科學家 普朗克 (Max Planck) 來中國講學。講學時用到 entropy一詞,胡剛復在翻譯時 靈機一動,把字加火旁來意譯此詞,創造了字,發音同http://zh.wikipedia.org/zh-cn/%E8%83%A1%E5%89%9B%E5%BE%A9

 

乾(天) 坤(地)

where a single solid line represents 0 and a single broken line 1. The Yin-Yang concept of Fuxi 伏羲 led Leibniz to construct and formulate his seminal work, Explication de l'arithmétique binaire (1705) [Explanation of binary arithmetic][7].

In describing the nature, the dichotomical nature of western language often hinders further development of cognitive horizon as the subject has been seriously concerned by Walter Gerlach of Stern-Gerlach experiment and Werner Heisenberg’s Gedankenexperiment.

Rescue or not, let us look at the oriental Yin-Yang 陰陽. Yin and Yang are not opposing forces (dualities), but complementary opposites that interact within a greater whole, as part of a dynamic system. Everything has both yin and yang aspects as light cannot exist without darkness and vice-versa, but either of these aspects may manifest more strongly in particular objects, and may ebb or flow over time. The concept of yin and yang is often symbolized by various forms of the Taijitu 太極圖 symbol, for which it is probably best known in western cultures. In other word, there is no such decision making as to whether the thing is either Yin or Yang. More Yin or more Yang may be possible, but the fundamentality is not of the  Aristotelian logical exclusion of the middle.

There is a misperception particularly in the West that Yin and Yang correspond to evil and good, to be or not to be, or truth and falsehood in the Western logic. However, Taoist philosophy generally rejects good/bad, to be/not to be, or truth or falsehood distinctions and other dichotomous logical and moral judgments, in preference to the idea of balance.

In the I Ching 易經, yin-yang is represented by broken and solid lines: yang is solid and yin is broken. These are then combined into trigrams, which are more yang or more yin depending on the number of broken and solid lines (e.g., is heavily yang, while is heavily yin), and trigrams are combined into hexagrams (see Figure 1. 64 Hexagram). The Yin-Yang, not Yin and Yang, flows continuously. They are not particles. The relative positions and numbers of yin and yang lines within the trigrams determine the meaning of a trigram, and in hexagrams the upper trigram is considered yang with respect to the lower trigram, allowing complex depictions of interrelations (see Figure 1. 64 Hexagram). In the Dao De Jing 道德經, Chapter 42, we see:

 The Dao produced One; One produced Two; Two produced Three; Three produced All things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All things[萬物] under heaven sprang from It[] as existing (and named); that existence sprang from It[] as non-existent (and not named)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Chapter 40 of Dao De Jing 道德經]. It is a Becoming processfrom a primordial or hidden Noumenon to Phenomenon , a long process of cosmovolution 宇宙演化思想[9]

This cyclical nature of Yin-Yang is not a discrete quantity, but rather a continuum, and opens up the Western linguistic impasse. It cannot be defined as dichotomy or juxtaposition in the way we are accustomed to the Western thought process.

Loqui est voce articulata signum dare cogitationis sure. Scribere est id facere permanentibus in charta ductibus. Quos ad vocem referri non est necesse, ut apparet ex Sinensium characteribus.

[Speech is to give the sign of one’s thought with articulated voice. Writing is to do it with permanent characters on paper. The latter need not be referred back to the voice, as is obvious from the characters of Chinese script.]

Gottfried Wilhelm Leibniz, Opuscules, page 497 in INTELLECTUS EXPRESSIO, TABLE DE DÉFINITIONS

 

3

 

[1] Competition or Symbiosis?

Simple statistics convinces us that, if such discoveries develop at a rate characteristic for recent years, in the relatively near future the majority of tissues and organs in animals and plants will be transferred to the category of symbiogenetic phenomena.[23]

Boris Kozo-Polyansky, Symbiogenesis 1924, English Translation by Victor Fe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2010, Page 102

 

The word ‘competition’ is the mantra in the Korean society as a whole. It is rampant throughout the nation among children, academia, business, and whatever you name it. The unlimited competition [無限競爭] is considered as virtue and becomes a way of living philosophy in Korea and some of capitalistic nations. It is an infectious disease along with preference of English language over its own native language, philosophy, and tra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oroughly as to whether we should adapt and promote this decaying social behavior. We find the competition in the root of Western civilization, particularly in the era of neoliberal financial capitalism. If it is the last stage of capitalism, it means also the end of capitalism.

Herbert Spencer, coined word ‘the survival of the fittest 最適者生存’, which unexamined has driven the capitalist world into bloody competition: an individual’s welfare at the expenses of neighborhood. Later Charles Darwin inserted this sentence into the fifth edition of his Origin of Species without much thoughtful consideration. Social Darwinism, the concept advocated by Spencer, once dominated the mind of Capitalism while now out of major political literature, insidiously penetrated into the mind of innocent people without notice.

Competition exists in all level of instinct from food to sex. Competition is not an adaptation. It is not an evolutionary scheme based on the natural selection. It is devolution. There is no single literature that supports that competition contributes to the evolution. To a society as a whole it is a single destructive element.

Competition in a social perspective weakens the social fabric and finally disintegrates the society and falls to prey of the international predators.

In Korea, every year about 15,000 men and women commit suicide, among which 400 university students take their lives due mostly to academic or financial pressure.

More than 150,000 people, about 10 times of suicide, seriously contemplate it or visit psychiatrist for help. Competition causes depression and suicide and ruins the nation. What use even if the competition Depression, the precursor of suicide, destroys family, causes divorce, jeopardize social life, and finally cost the society he or she dwells in. This number is alarmingly increases. How much schizophasia/paraphasia and competition contribute to these malaise? Right here in this KAIST another student committed suicide.

Should we resort ourselves to the serotonin level of the individuals? The answer is No. Most of psychiatric abnormalities including depressions, bipolar depression, Parkinsonism, and dementia of all sorts are of environmental origin. We are the cause of these diseases. We made it and therefore we ought to cure it and prevent it.

Have we ever thought that the very concept of competition is of origin of Western linguistics?

 

Emergence of Symbiogenesis

 At the time the Bolshevik revolution swept the entire Russia, there has undergone a rather quiet revolution in Biological Science unnoticed to the rest of the world. "Symbiogenesis", a term first coined by the Russian botanist K.S. Merezhkovsky in the late 19th century, is the evolution of new life forms, from the physical union of different, once-independent partners. Liya Khakhina trace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in Russian and Soviet scientific literature, reviewing the contributions of Merezhkovsky, A.S. Famintsyn, B.M. Kozo-Polyansky and other prominent Russian scientists, to theories of symbiosis in evolution.[23-28]

The greatest advanc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biological evolution is a formation of eukaryotes from two prokaryotes. Incorporation of mitochondria is another manifestation of the biological evolution. Entire animal kingdom evolves as a result of mutual aid.[29]

 

References

1

1550s, in phrase jobbe of worke "piece of work" (contrasted with continuous labor),      perhaps a variant of gobbe "mass, lump" (c.1400; see gob). Sense of "work done for pay" first recorded 1650s. Slang meaning "specimen, thing, person" is from 1927. The verb is attested from 1660s. On the job "hard at work" is from 1882. Job lot is from obsolete sense of "cartload, lump," which might also ultimately be from gob. job. (1) A low mean lucrative busy affair. (2) Petty, piddling work; a piece of chance work. [Johnson's Dictionary]

2

The popular works of Johann Gottlieb Fichte, Volume I, translated from German by William Smith, London: Trübner & Co., Ludgate Hall, 1889.

3

http://en.wikipedia.org/wiki/Humboldt_University_of_Berlin

http://en.wikipedia.org/wiki/Unter_den_Linden

4

Jixia Academy 稷下學宮 is the first University in the world consisting of 80 professors and 3,000 students. Literally translated it is called Learning Palace.

http://en.wikipedia.org/wiki/Jixia_Academy

5

http://en.wikipedia.org/wiki/Li_Si

6

David Riesman, The Lonely Crowd, Revised edition: A Study of the Changing American Character, Yale University Press, 2001.

7

E. F. Schumacher, Small Is Beautiful, 25th Anniversary Edition: Economics As If People Mattered: 25 Years Later . . . With Commentaries, Hartley and Marks Publishers, 2000.

8

Opuscules et Fragments Inédits de Leibniz, Felix Alcan, Éditeur, Ancienne Libraire Germer Bailliére etiére et Cie, 108, Boulevard Saint-Germain, 1903, Paris. Page 28.

9

Jacques Derrida, Of Gramatology [De la Gramatologi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and London, 1997. Page 78.

10

http://ads.ccsd.cnrs.fr/ads-00104781_v1/ (Original French Version)

http://www.leibniz-translations.com/binary.htm (English translation)

11

Anne Birdwhistell, Transition to Neo-Confucianism [朱子學 性理學]: Shao Yung [Shao Yong 邵雍] on Knowledge and Symbols of Real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12

Don J. Wyatt, The Recluse of Loyang [Louyang 洛陽]: Shao Yung and the Moral Evolution of Early Sung Thought,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6

13

http://en.wikipedia.org/wiki/Ba_gua  

14

http://en.wikipedia.org/wiki/I_Ching  

15

http://www.fourpillars.net/pdf/kingwen.pdf  

16

http://www.64gua.com/ebook/zyj/html/02.html  

17

For further explanation of trigram (八卦), hexagram (六十四卦), I Ching (易經), and Shao Yong (邵雍), see http://www.baidu.com

18

Noam Chomsky. (2002): Syntactic Structures (2nd Edition) Walter de Gruyter; 2nd edition.

19

Noam Chomsky. (2006): Language and Mind (3rd Ed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Noam Chomsky, Biolinguistics and the Human Capacity

Lecture at MTA, Budapest, May 17, 2004

http://www.nytud.hu/chomsky/lect.html

21

Peter Gregory, Inquiry Into the Origin of Humanity: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sung-Mi's Yuan Jen Lun with a Modern Commentary (Classics in East Asian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5. This excellent translation is a source for understanding Northeast Asian Mahayana Buddhism 大乘佛敎. Original title is Origin of Life 原因論. Peter Gregory translated it under somewhat different English title.

22

Life and Universe manifested in Phenomenological World, http://quovadis.tistory.com/entry/현상세계現象世界에서-현시顯示되는-생명과-우주

23

Boris Kozo-Polyansky, Symbiogenesis 1924, English Translation by Victor Fet,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2010, Page 102

24

Liya Nikolaevna Khakhina, Concepts of Symbiogenesis: A Historical and Critical Study of the Research of Russian Botanists (Bio-Origins Series), Yale University Press, New Heaven, 1992.

25

Ivan E. Wallin, Symbionticism and the Origin of Specie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27.

26

Jan Sapp, Evolution by Association: A History of Symbiosi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4.

27

Jan Sapp, The New Foundations of Evolution: On the Tree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9.

28

Paul. Buchner, Tier und Pflanze in intrazellularer Symbiose, Springer Verlag, Berlin, 1921. [Paul Buchner, Endosymbiosis of Animals with Plant Microorganisms, John Wiley & Sons, Inc.: Interscience Publ., New York, 1965].

29

Petr Kropotkin, 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1902, reproduced by Forgotten Books, 2010. http://www.gutenberg.org/cache/epub/4341/pg4341.html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



"등록금 전면폐지, 재정 부족? 충분하다"
[신년기획-강성종 박사 인터뷰②] "知囊 역할 못하는 사립대는 국가가 흡수해야"
 
안일규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모색으로 마련한 강성종 박사와의 첫 번째 인터뷰가 ‘경제’였다면 두 번째인터뷰는 ‘교육’을 다룬다. 강 박사는 뉴욕시립대학 마운트 사이나이 의과대학, 독일 막스 프랑크 연구소 등 유수의 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했다.

강 박사는 교수로 오랜 세월을 보낸 만큼 국가의 교육정책 및 기조에 대해서도 여러 주장을 폈다. 이공계 기피와 인문학의 위기에 대해서는 ‘학문의 부흥’을 강조했다. 사립대의 도립/시립대로의 전환과 대학 등록금 전폐를 주장했다. 대학 등록금 전폐로 인한 재원 마련에 대해서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시간강사 문제에 있어서도 ‘모두’ 전임강사로 전환해야 하며 교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강 박사는 자신이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던 독일과 석궁 논란에 휩싸였던 김명호 교수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언급을 했다.

강성종 박사와 인터뷰는 크게 경제, 교육, 과학기술 세 부분으로 나눠 다음에는 마지막으로 과학기술 분야를 다룬다. - 필자 주.

인문과 과학은 ‘새의 두 날개’…학문의 부흥이 급선무

안일규 : 박사님께서는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국가가 과학기술정책을 우선으로 두고 과학기술 및 교육정책을 수립해야 된다”고 하셨다. 그런데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사회 인문학의 위기는 어떻게 해결해야 합니까?

강성종 : 이공계 기피현상은 상당히 간단한 문제입니다. 이공계를 졸업하고 바로 안정된 직장이 보장되며 미국과 서구선진국가에서 보여주듯이 급여가 일반대학 출신보다 많다면 이공계 기피현상은 있을 수 없습니다. 한국은 이공계 출신, 즉 과학기술가가 상당히 부족한 나라입니다. 이공계 졸업하고 직장을 구하지 못한다는 것은 정치하는 사람들이 염불에는 관심 없고 잿밥에만 혈안이 되어있다는 겁니다.

인문계에 관해서 한국 사람들이 약간의 편견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인문사회과학은 동등하게, 아마도 더 중요합니다. 인문과 자연은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습니다. 한 날개만 없어도 날 수 없습니다. 인문계의 발전 없이 과학만 발전할 수는 없습니다. 희랍어나 라틴어에서 과학 (Science) 이란 말은 지식(Scientia)이라는 말입니다. 자연이나 인문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동양에서 과학이란 말을 만들었을 때 知學이라고 했었어야 합니다. 서구의 과학사를 보면 자연과학은 인문사회과학이라는 달걀에서 부화한 병아리로부터 시작했습니다. 그 달걀은 인문사회학의 닭에서 나왔으며 계속 나올 것입니다.

인문사회가 발달하지 않은 나라에 자연과학만 발전한 나라는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급한 것은 인문사회학을 부흥시키는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학문의 부흥이 급선무입니다. 지금 한국 정치 보십시오. 증권시장 사장인지 대통령인지 모를 지경으로 나라가 방향을 잃고 있습니다. 증권시장의 파생상품, 신용카드 남발, 1초를 다투는 전자증권거래 등 도박경제에 종지부를 찍고 학문의 부흥으로 새로운 모식을 설정하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나라가 됩니다. 학문의 부흥은 현재의 어떤 가치보다 반드시 상위에 있어야 합니다.

안일규 : 박사님께서는 “핵심이 아닌 분야에 지나치게 우수 인력이 몰리고 입학하기를 원한다”고 하셨습니다. 분야별 인력 구조조정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선 국가의 역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국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강성종 : 사실입니다. 대학교육을 크게 구분하면 면허증을 받아서 생활의 안전을 추구하는 직업학교와 학문의 부흥과 국가의 지식창고 역할을 할 수 있는 무 면허증 학문위주의 대학이 있습니다. 그러나 졸업 후 직업선택에 있어 명확한 구분은 없습니다. 상당히 적은 숫자이지만 의사, 약사, 치과의사 중 첨단연구를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핵심과학이 있으며 주변과학이 있습니다. 핵심과학에는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학, 우주천체학 등이 있고 주변과학에는 방송 통신학, 신문학, 복지학, 경영학, 호텔경영학, 등으로 다양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무엇을 하는 곳인지 모르지만 북한과 라는 곳도 있더군요?

면허증 따려고 들어오는 학생 수는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기구나 연구소가 있어 항상 모형연구를 해야 합니다. 정부는 이를 반영해야 합니다. 특히 의사나 약사, 초중고 학교 교수는 인성교육이 절대로 필요합니다. 이것이 국가의 역할입니다. 이 문제를 완전히 시장경제에 맡기고 있는데 의사 공부 8년하고 의사과잉으로 다른 직업으로 가거나 사기를 치게 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습니다. 국가의 낭비입니다.

안일규 : 박사님께서는 대학 학사 4년과 대학학력 없는 취업 4년을 동일하게 봐야 한다고 하셨는데 학벌사회인 한국에선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강성종 : 일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건 아닙니다. 대학을 다니지 않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실력이 인정되면 동등하게 취급하는 것은 물론 더 우수하면 대학졸업자보다 더 많은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다. 능력주의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학은 知囊 지낭 Think Tank!, 역할 못하는 사립대는 시립/도립으로 전환해야

안일규 : 박사님의 주장인 사립대의 시립/도립화로의 전환은 반발이나 현실성 논란이 있을 것 같습니다. 사립대는 왜 시립대나 도립대로 전환되어야 합니까?

강성종 : 우선 모든 구라파 대학은 사립이 아닙니다. 사립대학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모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립대학이 독소적인 존재입니다. 회사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닙니다. 사립대에선 교수는 고용인, 학생은 고객입니다. 여기에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고 대학을 나와야 그나마 굶어죽지 않는다는 압박감에 대학회사들은 제 마음대로 등록금을 받습니다.

교수들은 강의가 많아 연구에 전념할 수 없습니다. 몇 개 대학 제외하고는 한 과에 교수가 하나 있는 곳도 많습니다. 모두 시간강사로 메우고 있습니다. 그러니 대학이 어떻게 연구를 할 수 있겠습니까? 대학은 지낭단(智囊團, Think Tank)여야 합니다. 사립대학이 이와 같은 중대한 국가적 사명을 수행할 수 없으면 국가가 흡수해서 대학이 연구와 교육, 지낭의 역할을 해야 합니다.

▲ "대학은 지낭단(智囊團, Think Tank)여야 합니다. 사립대학이 이와 같은 중대한 국가적 사명을 수행할 수 없으면 국가가 흡수해서 대학이 연구와 교육, 지낭의 역할을 해야 합니다."      ©대자보(자료사진)
안일규 : 사립대가 시립/도립대로 전환된 사례가 있습니까?

강성종 : 미국의 경우를 한 번 봅시다. 미국은 대학도서관이 그 지방 시민에게 문이 열려 있습니다. 프린스톤대학의 도서관은 푸린스톤 도시 시민이면 누구든 들어갈 수 있습니다. 책도 빌릴 수 있고 없는 책은 주문도 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톤대학은 사립대학입니다. 그 도시에서 살지 않아도 학생처럼 그곳시민처럼 자유롭지는 못하지만 불편 없이 이용합니다.

서울대학을 봅시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대학이 국민에게는 문이 닫혀있습니다. 대학은 백성들의 것입니다. 현재 사립대학이 그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한 대학의 질은 바로 국가의 질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질을 높여야 합니다.

미국 인디아나에는 세계적인 유명한 사립대학이었던 퍼듀대학이 있습니다. 재정난으로 그 명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서 인디아나 주가 인수했습니다. 물론 주 공무원이 운영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외적인 변화가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모릅니다. 결과 주립대학 수준의 등록금을 받으니 학생들에게도 다소 도움이 됩니다.

안일규 : 주 공무원이 운영하는 게 아니라면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국유화 개념과는 다릅니까?

강성종 : 대학을 국가가 인수한다고 해서 국가 공무원이 운영하는 나라는 하나도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각 학교마다 ‘참의원’ 제도를 도입하고 참의원은 무보수 자원봉사로 사회의 지도자가 해야 합니다.

안일규 : 교육의 지방 분산화를 주장하시는데 이로 인한 효과는 어떤 게 있습니까?

강성종 : 대학의 지방 분산은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인구의 분산 2. 재정의 분산 3. 예술, 학문, 병원의 분산 4. 도시 지방의 편차해소 5. 산업의 분산 6. 땅값의 평준화 7. 지식의 분산 등 다양합니다.

지방대학은 특히 기능직업대학, 예를 들면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법과대학 등등은 그 지방 출신으로, 다시 말해서 그 지방에서 초, 중, 고를 졸업한 학생으로 50%는 채워야 합니다. 한 번 상상해보십시오. 얼마나 멋이 있는지. 공부하러 서울로 모두 몰리면 지방의 낙후는 영원하게 됩니다.

안일규 : “시간강사를 모두 전임강사로 전환해도 대학교수가 터무니없이 부족하다”는 평소 주장은 한국에서 생소합니다. 어떤 상황이기에 모두 전환해도 부족한 것입니까?

강성종 : 지금 교육부에 보고한 교수 숫자와 실재 교수 숫자는 터무니없이 다릅니다. 돈에 혈안이 된 사립대학이고 또 그런 목적으로 사립대학을 세운결과로 대학교수 숫자 늘리면 대학 파산합니다. 그래서 퍼듀대학처럼 국가에 바쳐야 합니다. 사실은 대학의 학생 숫자는 교수 숫자와 같아야 합니다. 경제가 뒷받침을 못하기 때문에 이상적일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러한 사실은 알아야 합니다.

지금 한국의 보따리장사라고 하는 시간강사를 한 번 보세요. 학문에 대한 모독입니다. 이래서 무슨 학문이 나오길 바랍니까? 제가 알기로는 이명박이 학문이 왜 필요한지를 말했다는 얘길 들었습니다. 거짓말인지는 몰라도 이런 소문 자체가 벌써 틀렸다는 겁니다. 그저 부자한테 가서 Yes만 하면 사장도 되는데 공부는 무슨 공부입니까?

대학에서도 천대받는 학과가 있습니다. 즉 비인기 학과들입니다. 그래서 서울대학의 고질병이었던 동물과가 이름을 분자생물학과로 바꾼 후 매우 인기 있는 학과가 되었다고 합니다. 1979년 전국 생물학 학생회 주최 회의에 가서 강연을 한 적 있습니다. 그때 저는 생물학에서 제일 중요한 과가 동물과라고 했습니다. 두뇌가 있는 학과가 동물과 외에 어떤 학과가 있습니까? 라고 했더니 약 350명이 참석한 이 학생회원 다들 좋다고 박수를 쳤습니다. 그런데도 동물과는 인기가 계속 없었습니다.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

인기가 없어도 정부는 많은 지원을 해야 합니다. 비인기 학과 시간강사를 모두 전임화해도 시간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지금 대학교수 수가 전국적으로 너무 적습니다. 얼마나 적냐고요? 지금 인문 자연 사회를 모두 합쳐서 대학 학생 수를 8로 나눈 수가 대학교수 숫자여야 최소 적정수치입니다. 과 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자연과학은 2로 나누어야 합니다.

등록금은 전폐해야, 재정 부족? 충분하다

안일규 : 그동안 등록금 문제에 대해 “등록금 전폐 혹은 1/10으로 내려야 한다”고 하셨는데 비판도 많을 것 같습니다.

강성종 : 개인의 지식은 국가의 지식입니다. 등록금은 없애야 합니다. 사실 1/10도 말이 안 됩니다. 무엇의 1/10입니까? 학생들 각각의 지식은 누구의 지식입니까? 국가의 지식입니다. 국가가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지식이 많은 사람들은 돈을 더 주고 쓰는 것입니다.

안일규 : 등록금 전폐를 감당할 재정 마련책으로 어떤 게 있습니까?

강성종 : 재정 문제는 없습니다. 지금 누구는 돈이 많아서 한국대학에 입학이 안 되면 외국으로 갑니다. 그리고 대부분 깡패가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자가 내는 세금이 너무 적습니다. 稅收(세수 - 편집자 주)를 늘리면 가난하고 장차 국가의 인재가 될 학생을 무료로 교육할 수 있습니다. 모든 대학을 등록금 없는 대학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돈을 쓰는 게 아니라 투자입니다.

덕국을 한번 보세요. 제가 다니던 튜빙겐 대학은 역사가 550년! 지난 550년 동안 등록금 받은 일이 없습니다. 2차 대전이 끝나고 전 나라가 폐허에서 먹을 것이 없어 고생할 때에도 등록금 전혀 받지 않았습니다. 등록금, 대학재정 운운하는 사람들은 정신 빠진 사람들입니다. 덕국에서 장학금이라고 하는 것은 생활비를 주는 것입니다.

▲ "세상에서 제일 값싸고 효율적인 투자가 바로 교육입니다. 지금 한국의 돈은 대부분 외국으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대자보(자료사진)

세상에서 제일 값싸고 효율적인 투자가 바로 교육입니다. 지금 한국의 돈은 대부분 외국으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분단국가의 불안이 잠재의식 속에 깔려있습니다. 천안함, 연평도 사건 하나만으로 재산도피가 몇 달 사이에 엄청나게 일어났습니다. 일확천금하겠다는 무지의 투자가들이 미국으로 와서 땅에 돈을 몰아넣었다 지금 모두 망했습니다. 노무현 정권 시절 노무현이 부추겨서 없어진 돈이 무려 1년에 몇 십조에 달합니다. 이것들만 장려하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돈이 많은 나라입니다.

한국이 리만 브라더스 (Liemann Brothers) 에 2조 투자했다가 고스란히 날린 얘기는 다들 잘 알고 있지요? 그건 하나의 예일 뿐입니다. 크고 작은 부실투자의 액수는 천문학적인 숫자에 달합니다. 왜 재정을 걱정합니까? 지금 아파트가 왜 이리 비쌉니까? 국토개발원과 건설회사가 짜고 치는 고스톱입니다. 지금 아무리 비싸게 지어도 평당 350만원이면 됩니다. 그런데 지금 거래되는 가격은 천만 원이 넘습니다. 그 돈 모두어디로 갔습니까? 돈이 없어서요? 아닙니다.

안일규 : 저서를 통해서 “아이가 소화를 할 수 없을 정도로 훈련을 받으면 두뇌에 이상이 생기고 체한다”는 주장도 하셨습니다. 이 발언은 조기교육 혹은 일종의 국가 교육병 열기를 비판하신 것 같습니다.

강성종 : 주입식 교육은 창조성 교육의 적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것을 많이 알아야하지만 먼저 알고 그 다음에 분석해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소화라고 합니다. 교육이 생활이어야 하는데 지나친 주입식 훈련은 오히려 두뇌를 파괴합니다. 빠져나갈 구멍이 없는 교육은 자살을 강요하는 것과 같습니다.

안일규 : 수학교육은 학생들이 공식을 암기하는 게 아니라 인문사회과 대학까지의 교육이라고 하셨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의 수학교육을 뜻합니까?

강성종 : 대학에 필수과목이 있습니다. 정치학과나 법과대학에서 미적분 방정식을 필수과목으로 하면 됩니다. 수학을 잘해야 법정에서 판단도 잘합니다. 수학, 물리, 화학, 생물을 골고루 인문계 필수과목으로 해야 합니다. “수학은 어려운 학문이고 나는 인문계 지망생인데 왜 수학이나 물리학은 해야 하냐?”고하는 학생들은 대학에 갈 자격이 없는 것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독일의 매력과 대학의 의미

안일규 : 독일의 전문학교, 교육기관, 마이스터 같은 게 한국에도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강성종 : 덕국(독일은 일본이 쓰는 말로 일본도 처음에는 덕국이라고 했다가 원어 도이스 Deutsch 라는 발음의 한문이 獨逸이기 때무에 일본에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편집자 주)의 과학기술, 경제구조 뒤에 숨어있는 힘이 바로 전문학교입니다. 학교, 연구소, 기업 등 모든 분야에서 필수로 존재해야 하는 것이 전문대 출신입니다. 이들에 대한 존경심과 직업보장이 앞서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지금의 전문대학은 마치 정규대학 못가는 사람들의 대합실처럼 되어있을 것입니다.

안일규 : 독일의 백림대학을 통해 한국이 배워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게 있습니까?

강성종 : 시작부터 멋있습니다. Friedrich 대제가 이상적인 대학을 백림에 만들겠다고 작심한 후 어떻게 했으면 좋을지 궁금해서 전 나라에 이상적인 대학을 만드는데 제안해달라고 공고를 했습니다. 여러 제안 중 철학가 Fichte의 제안이 받아들어졌습니다. 물론 그가 초대 총장을 했습니다. 처음에 대학을 만들어 놓고 건물이 없으니까 Friedrich 대제가 자기 궁전을 내 놓았습니다. 그래서 백림대학생들은 궁전에서 공부했습니다. 이것부터 우리가 배워야 합니다. 한국은 문교부 과장 몇 명이 여기저기서 베껴서 서류를 만들고 교육부 장관은 내용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청와대에 올렸을 겁니다.

백림대학의 또 다른 매력은 교수 유치 전쟁입니다. 철학의 헤겔은 모셔오는데 성공했지만 가우스(Gauss)를 모셔오는 건 실패했습니다. 당시 문교부장관에는 홈볼트였는데 그는 현직 장관으로서 그 대학에서 직접 강의를 들은 학생이었습니다. 이게 모두 우리가 배워야 할 점 아닙니까?

안일규 : 박사님께서는 “독일은 정신과학과 인문, 철학이 병행하면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강성종 : 저는 1960년에 덕국으로 과학공부를 하러갔습니다. 튜빙겐에 도착하니까 의학을 전공하는 덕국친구 하나가 저에게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2차대전 폐허에서 구라파를 건져낸 힘이 무엇인지 아는가?”

그는 이미 대답을 가지고 한 질문이었습니다. 답은 하이덱거(Martin Heidegger)의 시간과 존재(Sein und Zeit)와 에디 피아프(Edith Piaf)의 샹송입니다. 에디 피아프의 장미꽃 인생(La Vie en Rose)은 한국 사람이면 즐겨 부르는 노래입니다. 하이덱거의 시간과 존재는 상당히 두꺼운 책입니다. 그러나 쉬운 책입니다. 이 책이 어떻게 구라파를 정신적으로 살리느냐고요? 그 책에서 전체적으로 흐르는 주제 (Theme) 은 ¡°보살핌¡± 입니다. 라틴어로 Curum. 즉 인간의 존재는 서로 보살핌에 있다는 것입니다. 데카르트의 생각하기 때문에 존재 한다(Cogito ergo sum) 라는 논리에서 한층 뛰어 넘은 것이지요. Curo ergo sum (나는 남을 보살피기 때문에 존재한다) 는 말입니다. 이 말은 하이덱거가 한 말은 아닙니다. 제가 그 책을 읽고 요약해서 만든 말입니다. 이는 사회공동체생물학과도 일치합니다.

그 친구의 말로 또 하나는 덕국에선 덕국 나라 전체와도 바꿀 수 없는 유명한 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式 공산주의자 에른스트 블록(Ernst Bloch)입니다. 저는 이 두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소화하는데 1년 이상 시간이 걸렸습니다. 저는 에디 피아프의 샹송도 부를 줄 알고 Ernst Bloch와 Martin Heidegger의 전공가 이기도 합니다.

(론돈타임스에 따르면) 세계에서 첫째가는 연구소인 막스 푸랑크연구소를 한번 보세요. 막스 푸랑크연구소는 화학연구소로 시작했습니다. 초대 소장에 사회주의 복음신학가 하르낙 목사를 소장에 모셨습니다. 소장이 되었을 때 그의 나이는 61세! 81세까지 20년 동안 소장으로 있으면서 노벨상을 20명이나 배출했습니다. 한국 한번 상상해보세요. <과학도 모르는 목사가 뭘 안다> 고 과학가들이 반대궐기대회를 했을것 입니다. 61세? 그런 늙은이를? 그리고 청와대에 투서가 꽤나 들어갔을 거고요. 중국 보세요. 중국 과학기술대학 창립총장에 역사학가 郭沫若 Guo Moruo를 모셔왔습니다. 우리는 머리가 아직 거기까지 미치지 못합니다.

안일규 : 박사님께서는 대학에 대해 “재능이 있는 학가들의 집합소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친구로서 함께 먹고 마시고 함께 이야기하는 광장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말하셨습니다. 이 관점에서 한국의 현실과 가야 할 길은 어떻습니까?

강성종 : 각 대학이나 연구소를 보면 라운지(휴식실)가 없습니다. 교수들이 앉아서 장기 두는 곳은 있지만 학생들은 가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교수를 피합니다. 기름과 물입니다. 학생 휴게실은 거리가 멀어서 이용하기 힘듭니다. 심포지움(Sym-posium)이라는 게 무슨 말입니까? “함께 마신다”는 뜻 아닙니까? 가정처럼 서로 섞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안일규 : 한국의 대학을 서구와 같은 수준의 연구대학으로 만들어야 된다고 하셨습니다. 연구대학으로 가기 위한 길은 어떻게 됩니까?

강성종 : 대학은 한마디로 말하면 智囊機構(지낭기구, Think Tank)입니다. 이는 첨단연구만으로 가능합니다. 아니라면 양노원이나 박물관입니다. 智囊機構래야할 대학 한번 보십시오. 대학청소부들이 밥 먹을 곳이 없어서 변소에서 식사를 한다지 않나요? 대학교수 누구하나가 반기를 들고 데모를 했습니까? 덕국이서는 상상할 수가 없는 일입니다.

방법은 우선 교수의 수를 대폭 늘려야 합니다. 그리고 업적위주의 학교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학생 수에 맞춰 강의하는 수로 비례해서는 안 됩니다. 지식을 유지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20년만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면 미개국이 됩니다. 그래서 교육 자체가 연구교육이어야 합니다. 학문은 어느 한 쪽에 치중해도 안 됩니다. 중요성과 우선권은 있을 수 있습니다.

안일규 : 저서 <백년대계~>에서 석궁논란이 있었던 김명호 전 교수를 언급하셨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강성종 : 정말로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김명호 교수 앞에 가서 무릎을 꿇고 경의를 표해야 할 법관들이 법이라는 단어를 써가며 김명호 교수를 감옥에 넣었으니 말입니다. 법이라는 미명하에 그를 감옥으로 집어넣었다면 과연 그들은 삼성비자금이나 많은 재벌기업에도 같은 법의 잣대를 사용했습니까?

과학가에 대한 존경 없이 과학발전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똑똑한 사람 그 누가 과학을 하려고 하겠습니까? 이공계 기피현상 당연한 결과입니다. 과학가만 존경하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은 인간에 대한 존경심이 없습니다. 인간에 대한 존엄성 교육이 전혀 없습니다. 미국 맨하탄 프로젝트의 물리학가 오펜하이머(J. Robert Oppenheimer, Jr)가 소련에 원자탄 제조 비밀을 줬다고 스파이로 몰린 일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법이 감히 그를 기소할 수 없었습니다. 과학가에 대한 존경심 때문이었습니다. 한국이라면? 더 이상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각자의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어떻게 고시준비 책 몇 권 읽고 고시합격해서 법관이 되여 수학의 석학에 괘씸죄를 적용합니까? 미국의 공안당국도 중국인 석학 錢學森 Qian Xuesen (당시 칼리포니아공대 Caltech 교수) 이가 스파이로 연류 되었을 때도 가정방문 조사를 했습니다. 감옥에 집어넣었다는 얘기도 가택연금이었습니다. 한국법관들 정말 안하무인입니다. 그러니 어떻게 교육이 발전합니까?
관련기사
"한국, 도박경제와 그 주범들을 청산해야"

기획 인터뷰어. <대자보> 정치부 객원기자.

정치와 대중교통 문제를 다룹니다. 부산에 주로 머물며 지방의 현실을 고민합니다. 진보를 자처하기보다 보수와 진보를 뛰어넘어 합리적이고 제 3의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하고자 합니다. '이념'보다 '현실'에 초점을 둡니다.
 
기사입력: 2011/01/17 [13:53]  최종편집: ⓒ 대자보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
다 아는 사실이지만, 청일전쟁 이후 조정은 일본군대가 장악하고 있었고 조정은 꼭두각시로 일본이 시키는데로 했으니 대한제국, 황제가 무슨의미가있었겠습니까? 중국의 임낌을 배재하려는 일본의 침략적 의도에 따라  대한제국이 생겼고, 황제가 탄생했으니 이는 수치의 이름입니다. 한자 또한 부족국가 三韓삼한에서 유래한것은 만주를 누비던

朝鮮조선과 高句麗고구려를 역사를 제거하려는 일본의 의도임을 알아야합니다.
주석: 여기서 朝鮮조선이라함은 이성계의 朝鮮조선이 아니고 3000년전 중국의 여러나라들과 무역을 활발하게한 朝鮮조선입니다. 처음 朝鮮조선의 출처는 管子관자 (BC700) 에 기록되여있습니다.


1894
-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농민들에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키며, 크게 1894년 음력 3월의 고부 봉기(1)와 음력 9월의 전주·광주 궐기(2)로 나뉜다. 동학농민전쟁(東學農民戰爭), 동학농민혁명(東學農民革命)으로도 불리며, 갑오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갑오농민운동(甲午農民運動),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이라고도 한다. 청일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http://ko.wikipedia.org/wiki/%EB%8F%99%ED%95%99%EB%86%8D%EB%AF%BC%EC%A0%84%EC%9F%81

 

1894 -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 7 25일부터 1895 4월까지 벌인 전쟁이다. 중국에서는 갑오년에 일어났다고 하여 중일갑오전쟁(中日甲午战争 / 中日甲午戰爭), 일본에서는 일청전쟁(清戦争), 서양에서는 제1차 중일전쟁(First Sino-Japanese War)이라고도 부른다. http://ko.wikipedia.org/wiki/%EC%B2%AD%EC%9D%BC_%EC%A0%84%EC%9F%81

 

1895 - 을미사변(乙未事變) 1895년 음력 8 20(양력 10 8) 일본 제국이 조선을 침략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인 명성황후 민씨가 경복궁(景福宮)에서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지휘하는 일본 낭인 등에게 시해된 사건이다. 명성황후 시해참변 또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라고도 부르며, 당시에는 을미년의 변(乙未之變) 또는 을미년 팔월의 변(乙未八月之變)[1]이라고 불렀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84%EB%AF%B8%EC%82%AC%EB%B3%80

 

1896 - 아관파천(俄館播遷) 1896 2 11일부터 1897 2 20일까지 1년간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건청궁)을 떠나, 어가를 아라사 공사관 즉,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다. 노관파천(露館播遷)이라고도 한다. 아관파천 당시에는 “파천”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고, 나중에 붙인 명칭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95%84%EA%B4%80%ED%8C%8C%EC%B2%9C

 

1897 - 1897(광무 원년)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그 해 8 17일 광무(光武)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 3일 황제 칭호의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나라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10 12일 원구단(園丘團)에서 국호를 대한제국이라 고치고 스스로 황제로 즉위하였다.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각국들은 대한제국을 직·간접적으로 승인하였다. 그중 제정 러시아와 프랑스는 국가 원수가 직접 승인·축하하였으며 영국, 미국, 독일 등도 간접적으로 승인 의사를 표시하였다.[7] 그러나 당시 대부분의 열강은 대한제국의 성립을 그다지 반기지 않았다. 황제로 즉위한 고종은 즉위 직후인 11 12일 미루었던 명성황후의 국장(國葬)을 치렀으며, 과거에 청의 사대관계의 상징이던 영은문을 허물고, 그자리에 독립문건립에 추진하여 11 20일에 독립문건립에 완공하였다.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C%A0%9C%EA%B5%AD

 

1904 - 1차 한일 협약(第一次韓日協約, 일본어: 第一次日韓協約)은 러일 전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04 8 22일에 대한 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협약이다. 협약의 정식 명칭은 한일 외국인 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서(韓日外國人顧問傭聘에 關한 協定書)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A0%9C1%EC%B0%A8_%ED%95%9C%EC%9D%BC_%ED%98%91%EC%95%BD

 

1905 - 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 일본어: 第二次日韓協約) 1905 11 17일 한국정부의 박제순과 일본정부의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다. 을사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을사조약, 을사오조약, 을사보호조약이라 부르기도 하며 일본에 의해 강제로 맺은 조약이라 해서 을사늑약(乙巳勒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체결 당시 정식 명칭은 ‘한일 협상 조약’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A0%9C2%EC%B0%A8_%ED%95%9C%EC%9D%BC_%ED%98%91%EC%95%BD

 

1910 - 한일 병합 조약(韓日倂合條約, 일본어: 日韓 (にっかんへいごうじょうやく)), 한일합방조약(韓日合邦), 한일합방늑약(韓日合邦勒約) 또는 경술국치(庚戌國恥) 1910 8 22일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맺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다.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 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조약을 통과시켰으며, 조약의 공포는 8 29일에 이루어져 대한제국은 이 길로 멸망하게 된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실질적 통치권을 잃었던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편입되었고,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었다. 특이한 점은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성립한 당시에는 조약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았고, 순종이 직접 작성한 비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D%95%9C%EC%9D%BC_%EB%B3%91%ED%95%A9_%EC%A1%B0%EC%95%BD

韓國 名稱

이 글은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2&uid=70078 의 내용에 있는 韓國의 名稱 중 일부를 수정해서 올린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일본은 明治維新(명치유신) 이후 조선반도 침공의 명분을 쌓는데 주력한다. ‘任那日本府(임나일본부)’라는 가설을 주장하는 세력들이 19c부터 등장하는데 ‘倭馬韓辰韓弁韓’이라는 중국 ‘삼국지위지 동이전’ 이라는 역사책에서 倭보다 뒤지는 韓國을 기록한 역사기록을 내세웠다. 이를 근거로 조선정벌론자들은 任那(임나)가 韓國을 복속하였다는 조작된 사실을 공개적으로 떠들어 댔다.

 

일본에서는 조선정벌론이 활개치면서 군국주의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시기이다. 당시 조선은 강화도조약으로 일본에 의해 강제로 외교관계를 갖고 ‘任那日本府(임나일본부)’를 근거로 한 조선침략이 점차 현실화 돼가는 시기이었다. 갑신정변, 을미사변 등을 거치며 고종은 일본군대에 둘러 쌓여서 더욱 약해져 갔다.

러시아공관으로 도망친 俄館播遷(아관파천)도 일본의 각본이었다. 靑의 입김으로 부터 멀리 떨어트리려는 계략으로 일본은 고종에게 청과 같은 ‘황제’ 라는 명칭을 억지로 불려주며 국호를 조선침략의 모토인 ‘任那日本府(임나일본부)의 韓國’을 모델로 일본지배의 당연성을 고취하기 위해 韓國, 大韓帝國으로 변경하게 된다.

 

혹자는 고종이 자주적으로 한국이라는 명칭을 썼다고 하나, 일본의 칼머리 앞에서 자주성을 발휘했다는 말은 과장된 억지에 불과하다. 더구나 일본앞잡이들이 청에 대한 사대외교를 당장 그만두어야 한다는 소리를 하고있는 마당에 어찌 일본을 누르려고 작정했겠는가? 大韓이란 말은 三韓을 통합한 말이다.

任那日本府(임나일본부)의 근원이 되는 당시의 伽倻(가야)지역은 馬韓, 弁韓, 辰韓이라는 소규모의 미개한 韓國으로 불리는 약소사회가 주류를 이뤘다. 신라, 백제, 고구려로 이어지는 고대왕국으로 발전돼지도 못한 채 부족사회로만 알려진 韓國이 20세기에 任那日本府(임나일본부) 의 희생양 韓國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우리가 역사에서 알고 있는 韓國은 남쪽지방만의 부족사회 三韓이다. 일본이 역사왜곡을 자행하며 일본식민지의 근거를 만들려 일본의 속국을 근거로 설정한 국호일 뿐이다.

이런 일본의 강제적인 설정과 협박으로 韓國의 비주체적 국호선정의 내막을 안다면 韓國이 크다, 넓다 의 韓國이 아니라 단지 일본침략기에 ‘任那(임나)의 속국 韓國’으로 알려진 국호임에 모든 자존심이 한 순간에 우르르 무너지는 아픔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이라는 명칭의 어원을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고종말기에 나온 대한제국은 우스꽝스럽게도 자주자강의 힘찬 포효가 아니라 일본총칼 앞에 무릎 꿇은 우리의 역사적자부심을 말살하려는 억압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기존 조선왕국을 부정해서 일본식민지를 합리화하려는 계략의 산물이었다. 친일사학자들이 한국을 끄집어내어 후대에까지 연결시킨 것은 문화의 단절, 역사의식 不在이었을 뿐이다.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

멍들어가는 미국교육, 교육후진국 자초한 미국
[국제동향] 크루그만 교수 <뉴욕타임스>에 교육개혁 중요성 강조 기고
 
강성종
역자의 번역이유: 교육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은 그 자체가 어느 의미에서 모독적이다. 이러한 자명한 사실이 요즈음 이명박 정부에 들어와서 상처를 입고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고 간에 경제적 성공은 교육에 달려있다고 크루그만 박사는 <뉴욕타임스>에서 강조한다. 그리고 교육처럼 완벽한 투자는 없다. 그리고 크루그만 박사도 지적했듯이 국가의 교육은 공교육을 말한다. 돈이 없어서 대학에 진학을 못한다는 것은 반국가적 행위로 밖에 볼 수 없다.
 
역자는 그의 저서 “100년 대계” 에서 유럽의 대학들처럼 한국에서 대학등록금의 완전철폐를 강조한다. 그리고 대학을 축재(蓄財)의 수단으로 하는 사립대학은 국가화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지금 유행하는 특목교 나 유사한 특수사립교육들은 완전히 뿌리를 뽑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가와 개인 모두에게 교육은 병역의무처럼 선택이 아니고 의무다. 그리고 교육은 Ralph Dahrendorf 의 말대로 시민의 권리다. 폴 크루그만은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을 예기하고 있다. (강성종, 한국과학기술 100년 대계, 라이프 사이언스, 서울, 2008, 제3장 교육 참조)  

 
- 폴 크루그만(경제학가·노벨수상가) 칼럼 원문 (링크)
- 강성종 박사 번역


만일 미국 경제의 성공을 한마디로 말하라면, 그 말은 교육이다. 19세기에 미국은 보편적 기초교육으로 가는 길을 택했다. 그리고 다른 국가들이 뒤를 따름에 따라 20세기 초에는  “고교혁명(高校革命 high school revolution)”이라고 하는 것이 우리를 새로운 수준으로 올려놓았다. 2차 대전 후에는 미국은 고등교육에 있어서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했었다.

그때에는 미국교육의 급성장은 압도적으로 공교육의 급성장이었다. 그러나 지난 30년간 미국의 정치무대에서는 정부지출은 세금의 낭비라는 견해로 먹칠해왔다. 당연히 공공부문지출의 가장 큰 부분인 교육은 그 결과 불가피하게 수난을 당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까지 미국은 교육을 소홀히 한 결과 점차적으로 미국의 상대적 위치를 약화시켜왔다. 그러나 경제사정은 더욱 더 악화 되였고 그 효과는 워싱톤에서 “재정적 책임”이라는 말로 통과된 소탐대실(小貪大失, penny-wise, pound-foolish)적 행위에 의해서 더욱 가중 되였을 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교육을 강타(强打) 했다.

미국교육이 멍들어가는 것에 관해서는 대게 이렇다. 미국의 일류대학의 지배적 위치는 위협을 받고 있다는 보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적어도 내가 관측한 바로는 같은 수준의 경고로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세속적인 척도로 보아도 상대적으로 사양(斜陽)길에 있다는 것이다. 한때는 젊은이들의 교육에 앞장섰던 미국은 이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 

▲ <뉴욕타임스> 2009년 10월 9일 칼럼.     ©<뉴욕타임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도 그들의 마음속에 미국의 인상은 대학교육의 대국으로 그들의 마음속에 새겨져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등교육이 전국민에게 제공되는 만큼 아주 특수하다고 본다.  그러한 인상이 현실이었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 미국의 젊은이들은 많은 다른 나라의 젊은이들에 비해서 그렇지 못하다. 사실 미국의 대학교육수준은 다른 선진국의 평균교육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경제위기가 없었다 하더라도, 미국은 재정이 어려운 학생들이 학교에 남아서 공부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미국이 교육수준에서 뒤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취약한 사회안전망(社會安全網)과 학생보조금을 아주 적게 주는 나라로서 학생들이 겸직을 하면서 학교에 다니는 경우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아주 많다. 재정적 압박 때문에 미국의 젊은이들은 학교에 머물러있지 못하고 全日制(전일제 full-time) 일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미국의 이미 삐걱거리는 교육제도에 더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경제는 지난 한 달에 273,000명의 실업자가 나왔다. 그 중 29,000 명이 학교선생들이고, 지난 5개월간 143,000 명의 학교선생들이 실직했다. 이는 별거 아닌 것 같이 보이지만, 교육이라는 것은 불경기에도 계속 성장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심각한 것이다. 시장경제가 나쁘다고 해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중단 되여야 한다는 이유는 있을 수 없다. 바로 이것이 미국이 하고 있는 짓이다.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하나도 새로운 것이 없다. 교육은 주로 지금 재정적인 압박을 받고 있는 주정부와 지방정부의 몫이다. 오직 적절한 연방정부의 보조만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현재 보조금이 좀 지급되기는 하지만 이는 부족한 부분의 극히 일부분도 못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지난 2월 중도상원의원들이 자극법안(刺戟法案 Stimulus Act)이라고 알려진 미국회복 및 재투자 법으로부터 많은 예산을 삭감하라고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결과로, 교육은 단두대(斷頭臺)에 올라서게 되고 그로 인하여 많은 교사들이 해직 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전체 그림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기회의 문을 닫아버리는 우리의 태도다.

예를 들어보자. 고등교육연감(高等敎育年鑑)은 최근 칼리포니아 사구대학(社區大學 community college)에서 곤경에 빠진 학생들에 관해서 보고를 했었다. 전통적으로 빈곤한 가정출신의 우수한 학생들은 주립대학으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로 사구대학(社區大學 community college)을 이용해왔다. 그러나, 주정부는 예산위기라는 구실로 4년제 대학으로 전학하는 문을 닫았다. 이는 자라나는 젊은 학생들의 장래를 꺾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왔고 인간의 잠재력에 엄청난 낭비와 손실을 초래했다.

그러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무엇보다도, 의회는 지난 2월의 죄(罪: 경제위기를 말함)를 씻어버릴 필요가 있고 지방정부에 많은 지원을 통과시켜야 한다. 우리는 이를 자극이라고 부를 필요는 없지만 이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현재 실직의 망령에서 떨고 있는 많은 사람들과 학교선생들을 구제할 수가 있다. 이는 동시에 우리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을 떠나서라도 우리는 잠에서 깨여나야 한다. 미국의 역사적 성공의 열쇠의 하나가 지금 낭비되고 있는 자산, 즉 교육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교육이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었고, 교육을 소홀히 함으로서 미국은 성공의 시계바늘을 꺼꾸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Posted by 쿼바디스 대한민국
,